(1) 50% - 15%
(2) 50% - 20%
(3) 75% - 12%
(4) 75% - 15%
(5) 75% - 20%
[해설] 경제활동참가율은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의 비중을 뜻한다. 문제에서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는 3000만 명이다.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를 더하면 4000만 명이 생산가능인구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참가율을 구하면 75%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중을 뜻한다. 실업자 600만 명을 경제활동인구 3000만 명으로 나누면 실업률은 20%다. [정답] (5)<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A사가 처한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A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마스크를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A사가 높은 이익을 가짐에 따라 여러 업체가 시장 진입을 고려하고 있다. 그 결과 마스크를 생산하는 소수의 업체가 시장에 참가하게 됐다.
(1) A사의 생산라인으로부터 얻는 이익이 증가한다.
(2) A사 마스크의 수요 가격탄력성이 증가한다.
(3) A사 마스크의 교차 가격탄력성이 감소한다.
(4) A사 마스크의 수요 가격탄력성에는 변화가 없다.
(5) A사 마스크의 소득 탄력성이 증가한다.
[해설]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 요인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는 문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즉, 가격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을 측정한 것이다. 이용할 수 있는 대체재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상품의 소비가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단기보다는 장기에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증가하게 된다. 지문에서 다른 상품이나 소비자의 소득에 대한 언급은 없으므로 교차 가격탄력성과 소득 탄력성은 알 수 없다. [정답] (2)<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 다음 나열하는 내용을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금융데이터의 주인을 금융회사에서 개인으로 정의
▶개인은 흩어진 금융정보를 통합 관리 가능
▶기존 금융사는 플랫폼에 상품을 공급하는 하도급업체의 역할로 전락할 수 있음
(1) 챗봇
(2) 오픈API
(3) 블록체인
(4) 스트리밍
(5) 마이데이터
[해설] 마이데이터는 은행 계좌와 신용카드 이용내역 등 금융데이터의 주인을 금융회사가 아니라 개인으로 정의하는 개념이다. 마이데이터가 허용되면 개인은 여러 금융회사에 흩어진 금융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 개정으로 2020년 8월부터 사업자들이 개인의 동의를 받아 금융정보를 통합 관리해주는 마이데이터산업(신용정보관리업)이 가능해졌다. 오픈API는 검색, 블로그 등의 데이터 플랫폼을 외부에 공개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서비스 및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외부 개발자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 (5)<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 표는 금융 상품 A, B의 일반적인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A, B는 각각 주식 또는 채권 중 하나다.)
(1) A는 기업 입장에서 부채에 해당한다.
(2) A는 B와 달리 만기가 정해져 있다.
(3) B를 보유한 사람은 확정 이자를 기대할 수 있다.
(4) (가)에는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가?’가 들어갈 수 있다.
(5) (나)에는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가?’가 들어갈 수 있다.
[해설] A는 주식, B는 채권이다. 채권은 확정 이자가 약속돼 있다. 주식은 기업 입장에서 자기 자본에 해당하고, 채권은 기업 입장에서 부채에 해당한다. 주식은 정해진 만기가 없으며, 채권은 만기가 있다. 주식과 채권 모두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주식만 해당한다. [정답] (3)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