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총 조합원 수가 200만명을 넘어섰다. 양대 노총의 조직확대 경쟁으로 노조 조직률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년만에 1.8%포인트나 급등했다. 하지만 늘어난 조합원의 대부분은 공공부문과 대기업 근로자여서 양대 노총의 조직확대 경쟁으로 노동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2019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노조 조합원 수는 253만1000명, 조직률은 12.5%였다. 전년에 비해 각각 20만명, 0.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고용부는 매년 연말에 전년도 노조조직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각 단위노조가 직전연도 말 기준으로 신고한 조합원 수를 토대로 한 것으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집계했다.
지난해 정부 공식집계로는 처음으로 민주노총이 한국노총을 앞지른데 이어 '제1노총' 굳히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민주노총 조합원 집계에는 지난 9월 대법원 판결 이후 고용부의 '노조 아님 통보' 취소로 합법 노조가 된 전국교직원노조는 포함돼있지 않다. 약 5만1000명 규모의 전교조를 포함하면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110만명에 육박한다.
양대 노총 소속 외에 공공노총은 4만8000명(1.9%), 선진노총 1만9000명(0.7%), 전국노총 1만5000명(0.6%) 순이었다. 상급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노조(미가맹) 조합원은 38만6000명(15.8%)이었다. 조직 형태 별로는 초기업 노조 소속 조합원이 147만3000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58.2%였다.
정부의 '정책적 배려' 속에 노조 조직률은 크게 올랐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늘어난 조합원의 대부분은 공공부문과 대기업 소속 근로자들이다. 공공부문의 노조 조직률은 지난해 70.5%로 2017년 63.2%에 비해 무려 7.3%포인트나 상승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근로자들 상당수가 노조의 '우산' 속으로 찾아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민간부문 노조 조직률은 2017년 9.0%에서 지난해 10.0%로 단 1%포인트 늘어나는데 그쳤다.
사업체 규모별 노조 현황을 보면 민간부문의 노조 양극화 양태가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54.8%(145만2438명)였다. 반면 100~299인 사업장은 8.9%(17만6843명), 30~99인사업장은 1.7%(6만8521명), 30인미만 사업장은 0.1%(9402명)에 불과했다.
이는 현 정부 들어 고용시장에서 밀려난 빈곤층이 급증한 것과도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보건복지부가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현황' 자료에 따르면 사회 빈곤층은 지난 달 기준 272만2000명이었다. 현 정부 출범 시점과 비교하면 약 55만명 증가한 수치다.
정부가 근로자의 단결권 강화를 위해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등 친노동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취지와 달리 노동시장 양극화를 되레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관계자는 "양대 노총은 비정규직 보호, 취약근로자의 노조할 권리 등을 주장하지만 실제 조합원 확대 결과를 보면 구호가 무색하다"며 "친노동 정부를 등에 업고 이미 노동시장 상층부에 있는 대기업과 공공부문 노조의 목소리만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