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대검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검찰청에 4만8865건의 근로기준법 위반 사건이 접수됐다. 2019년 6만211건과 비교해 19%가량 줄어든 수치다. 2016년 5만8130건, 2017년 5만7977건, 2018년 5만9963건 등 최근 몇 년간 매해 6만 건 안팎의 관련 사건이 접수되면서 일정한 흐름을 보였지만, 작년엔 평년보다 1만 건 넘게 감소했다.
검찰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수사기간이 늘어난 데다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등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작년 7만2350개 사업장에 2조2777억원 상당의 고용유지지원금을 풀었다. 지원금을 받은 사업장이 2019년보다 48배나 증가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해 임금체불 총액은 전년 대비 8.1% 줄어들었다. 법조계에 따르면 근로기준법 위반 사범 상당수는 임금체불로 발생한다.
대형 로펌의 한 변호사는 “불경기 땐 보통 임금체불이 늘어나는데, 작년에 정부 지원금 때문에 역설적인 현상이 발생했다”며 “하지만 올해도 코로나 불황이 지속된다면 임금 분쟁이 폭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법조계에선 코로나19 불경기 속 휴·폐업 기업이 늘어난 것이 역설적으로 작년 근로기준법 사건이 감소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서울 서초동 법조타운의 한 변호사는 “야간·연장근로수당 등의 미지급이 근로기준법 위반의 대표 유형인데, 휴업하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이 같은 추가 수당 관련 분쟁이 발생할 여지가 줄어들었다”며 “일자리 자체가 줄면서 근로계약서 미작성 분쟁도 감소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신종 유형의 노동분쟁도 발생하고 있다. 노동 사건을 주로 다루는 한 변호사는 “재택근무를 할 때 근로시간과 쉬는 시간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등을 둘러싼 노사 갈등 사례가 꽤 있다”며 “회사가 코로나19에 확진된 직원을 징계했다가 직원이 이에 불복해 일어나는 민사분쟁도 지난해 나타난 새로운 유형”이라고 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