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근로자가 연금만으로 백만장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은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장기 투자했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대다수 투자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증시가 급락했던 작년 초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피델리티 측은 “100만달러 이상 연금 보유자 중 상당수는 20년 이상 꾸준히 투자해온 사람들”이라고 했다.
정부 주도형인 한국식 퇴직연금과 달리 401k는 근로자와 회사가 유연하게 적립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다. 근로자가 매년 일정액을 적립하면 회사가 같은 금액을 매칭 형태로 넣어준다. 기업들은 더 좋은 인력을 채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401k 적립 비율’을 내세우고 있다. 정부 역시 401k의 소득공제 금액을 해마다 높이면서 근로자 스스로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게 결국 국가 부담을 덜어줄 것이란 믿음에서다.
401k는 뉴욕증시를 강세로 이끌어온 원동력 중 하나이기도 하다. 매년 상당한 규모의 신규 연금 자산이 증시로 유입되고 있어서다. 연금 투자가 늘수록 수익률이 개선되는 선순환 구조다.
불필요하게 불안 심리를 자극하는 것도 문제다. 주식 또는 주식형 펀드 투자가 위험하니 정부가 ‘70% 벽’을 만들었다는 인식이다. 이런 이유 등으로 한국 퇴직연금의 원리금 보장형 상품 비중은 90%에 육박하고 있다. 주요국 중에서 압도적인 비율이다.
정부가 퇴직연금 규제를 푼다고 해서 10% 남짓인 위험자산 투자 비중이 단기간 내 급증할 가능성은 낮다. 규제 폐지는 적극적 투자 성향의 가입자에 대한 운신의 폭을 넓히고, 장기 분산 투자에 대한 사회 인식을 제고하는 조치일 뿐이다.
한국 최대 퇴직연금 사업자인 삼성생명의 전체 가입자 수익률(DC형 기준)은 연평균 2.6%에 불과하다. 미국의 연금 사업자들이 고객에게 제시하는 연평균 수익률 5~8%에 한참 못 미친다. 가입자의 86.4%가 예·적금과 같은 원리금 보장형에 넣고 있어서다. 양국 투자자의 수익률 격차는 실력보다 규제의 차이가 아닐지 고민해봐야 한다.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