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주목할 대목은 60세 이상 취업자 숫자다. 최근 취업자 수가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하는 와중에도 60세 이상 고령 취업자는 매달 30만~40만 명씩 증가해 왔다. 정부가 세금을 퍼부어 만든 하루 2~3시간짜리 단기 노인 일자리가 대거 포함된 결과다. 그런데 지난달에는 이례적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수마저 전년 동월 대비 1만5000명 줄었다. “1월 노인 일자리사업 재개가 잘 안 돼 취업자가 줄었다”는 게 기획재정부 설명이다. 세금으로 만든 사실상 가짜 일자리로 취업자 수를 상습적으로 부풀려 왔는데, 1월에는 추위로 여의치 않아 취업자 수 감소폭이 갑자기 98만 명으로 커진 것이다. ‘관제 알바’를 동원한 일자리 통계 ‘분식(粉飾)’이 어려워지자 마치 화장을 지운 민낯이 드러나듯, 고용시장의 참상이 그대로 노출되고 만 셈이다.
물론 코로나 충격으로 고용사정이 더 악화한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숙박 및 음식점업(-15.7%)과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15.9%) 취업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도 그래서다. 하지만 ‘경제의 허리’로 불리는 30~40대와 제조업 취업자 수는 코로나 이전부터 추세적으로 감소세였다는 점도 상기해야 한다. 코로나 이전부터 ‘일자리 스퀴즈’는 이미 시작됐던 것이다.
정부는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하겠다”며 1분기 중 직접일자리 90만 개를 만들겠다고 한다. 최악의 상황인 만큼 정부가 팔 걷고 나서는 게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번에도 관제 알바 같은 ‘가짜 일자리’를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게 고용대책의 중심이라면 또다시 통계 분식을 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지금 절실한 것은 안정적 고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진짜 일자리’다. 이런 일자리는 기업이 만든다. 정부가 할 일은 기업이 맘 놓고 투자하도록 유도해 고용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분명한 답이 있는데 4년 내내 엉뚱한 데에 힘을 쓰고 돈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