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용대출 시장은 부동산과 증시에서의 ‘빚투’ 열기로 활활 타올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식시장과 부동산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가면서 지난해 8월(4조704억원)과 11월(4조8495억원) 두 차례 월간 증가액 최고 기록을 갈아치울 정도였다. 12월 들어 은행들이 일시적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5대 은행 신용대출은 전달 대비 444억원 줄어들었다. 하지만 감소세는 잠깐에 그쳤다. 올들어 코스피 지수가 3200을 돌파하는 등 ‘증시 랠리’가 나타나면서 빚투가 늘어났고,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1월 한 달간 1조5791억원 불어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주식시장에 개인이 빚을 내 투자하는 현상이 과도하다고 판단하고 은행들에 '마이너스 통장을 조이라'고 요구했다. 이에 지난달 신한, 우리은행이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일제히 5000만원 줄였고,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도 ‘한도를 줄이고 금리를 높이는’ 조치에 나섰다. 한 은행 관계자는 “증시가 최근 다소 주춤한 영향과 마이너스 통장 문턱을 높인 결과가 이제야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너스통장 계약 갱신시 금리가 크게 오르는 사례도 늘어났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국민은행의 고신용자(구 개인신용 1등급) 대상 KB스타 마이너스 비대면 신용대출 최저 금리는 작년 9월 연 3.1%에서 이날 기준 3.36%로 올랐다. 하나은행의 하나원큐 마이너스 대출 최저 금리는 같은 기간 0.4%포인트, 우리은행의 주거래 직장인 마이너스통장대출 금리도 0.4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연 2%대 금리로 마이너스 통장을 썼고, 올 초 계약을 갱신했다면 크게 금리가 올랐다고 체감할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은행 관계자는 “꼭 필요한 돈이라면 마이너스 통장 대신 조금 더 금리가 낮은 일시금 신용대출(건별 대출)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아직 빚투와 신용대출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건 아니다. 증시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달 금융위원회가 현재 금융회사별로 적용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개인별로 완전히 전환하는 조치를 발표하면 막차 수요가 몰릴 가능성도 남아있다.
김대훈/정소람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