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상공회의소 회장단에 합류한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과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국내 인터넷 벤처 창업 1세대로 불린다. 1세대 창업자들은 대부분 1980년대 중반 공대 출신이다. 김 의장은 서울대 산업공학과(86학번)를 졸업했다. 김 대표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85학번) 출신이다. 같은 1세대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도 서울대에서 컴퓨터공학(86학번)을 전공했다.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넥슨의 지주회사) 대표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86학번)를 졸업했다.
김정주 대표와 이 GIO는 KAIST 석사 시절 기숙사 룸메이트였다. 이 GIO는 김범수 의장과 삼성SDS 입사 동기로 직장생활을 함께 시작했다. 서울상의 부회장을 맡게 될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은 1.5세대로 분류된다. 그도 KAIST에서 전산학(91학번)을 전공했다.
이들은 모두 창업 당시 김대중 정부 시절 구축된 초고속 인터넷망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 IT 기업을 일궈냈다. 국내 1위 배달 앱 ‘배달의민족’을 개발한 우아한형제들의 김봉진 이사회 의장은 무선 초고속 인터넷망의 덕을 봤다. ‘맨땅’에서 글로벌 기업을 일군 현대 정주영, 삼성 이병철, LG 구인회 회장 등 한국 산업화의 1세대 창업주들보다 사업 여건이 좋았다. IT 창업자들이 기부 및 사회 공헌에 대한 관심이 이전 기업인보다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 김봉진 의장은 18일 세계적 기부클럽인 ‘더기빙플레지’에 한국인으로선 처음 이름을 올리면서 “기부 서약은 제가 쌓은 부가 단지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넘어선 수많은 분의 도움에 의한 결과임을 공개적으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주 대표도 2018년 1000억원 기부를 약속하면서 “넥슨은 우리 사회의 배려 속에서 함께 성장해왔다”고 설명했다.
국내 IT 창업자들의 이런 모습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성공방식을 따라가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등은 재산의 대부분을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벤처 기업인들에게도 자극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봉진 의장은 “10년 전 창업 초기 20명도 안 되던 작은 회사를 운영할 때 빌 게이츠의 기사를 보면서 만약 성공한다면 ‘더기빙플레지’ 선언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하게 꿈꿨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IT 플랫폼 사업자라는 특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네이버, 카카오, 배달의민족 등은 인터넷 검색, 온라인 쇼핑, 모바일 메신저, 음식 배달 등의 독과점업체다. 세 업체 모두 급격히 성장하면서 정부와 정치권은 물론 소비자들과 ‘을’의 위치에 있는 영세사업자, 플랫폼 노동자, 여론 등의 견제도 커졌다. 최근에는 이들 업체만 따로 규제하는 내용을 담은 ‘온라인플랫폼 공정화법’의 입법도 정부와 정치권이 추진 중이다. IT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도 구글과 페이스북 등은 독점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회 공헌 활동으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주완/구민기 기자 kjw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