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해외문화홍보원의 외신 지원 기능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전날 황희 문체부 장관이 "한국의 코로나 극복 스토리를 외신에 적극 알리는 등 국가 브랜드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언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이 같은 기조를 두고 일각에서는 "현 정부에 우호적인 외신 기사 생산을 통해 국내의 비판 여론을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문체부가 외신 지원 강화에 팔을 걷어붙인 건 지난 11일 취임한 황 장관의 발언과도 일맥상통한다. 황 장관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외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지금까지는 K방역의 우수성에 대해 해외에 알려왔는데 이제 방역에 무게를 두기보다 좌절 가운데 국민들이 코로나를 극복하고 희망을 찾아가는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코로나 이후 대한민국 문화가 어떻게 포지셔닝 되는지를 전하겠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최근 주요 해외 언론들이 서울에 뉴스 거점을 개설하기로 하면서 한국 거주 특파원 350명 시대를 앞두고 있다"고 했다. 지난 2월 기준 상주 외신지가는 280명 수준이다. 여기에 뉴욕타임스가 계획대로 홍콩지국 일부를 서울로 이전하고, 워싱턴포스트의 서울 지국 개설이 완료되면 외신 기자 수는 300명대 초중반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평가는 정부에 우호적으로 비치기 쉬운 외신의 특성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외신 보도는 정부 정책과 인사를 일일이 분석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비교적 소수의 인원이 국가 전체를 담당한다. 예컨대 특정 정치인의 복잡한 비리 사건이나 현장에서 드러나는 경제정책의 부작용보다는, 정부 고위 인사들의 성향 및 외교정책방향이나 '분배 강화'라는 기조를 다룬다는 얘기다.
정부가 국내와 해외 언론에 '투 트랙'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언론 보도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로 대표되는 '언론개혁법'으로 관리하고, 해외 언론과의 관계는 두텁게 형성하는 식이다. 하지만 정부가 국내 비판 여론을 해외 언론의 홍보성 보도로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해외문화홍보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국내의 비판을 우호적인 외신 기사로 덮으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며 "해외 언론과 국제 사회가 한국 사회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홍보원의 임무고, 이번 조치는 이를 강화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