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파트너스는 버스회사들을 계열사로 둔 지주회사를 설립해 기업공개(IPO)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고속도로 등 인프라 자산을 묶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맥쿼리인프라와 비슷한 형태다. 상장 시기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파트너스가 지난해부터 사들인 버스회사는 한국BRT, 동아운수, 동인여객, 대전승합, 명진교통, 송도버스, 강화선진, 삼환교통, 인천스마트 등 서울 인천 대전 지역 총 9곳으로 모두 900여 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차파트너스는 연내 추가로 버스회사를 인수해 2000대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상장 대상인 버스회사들은 모두 지자체가 운송비용 부족분을 보전해주는 준공영제에 속해 있다. 준공영제 시내버스 사업은 손실이 나지 않는 구조다. 또 차고지 등 보유 부동산을 활용하고 과거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해 발생하던 경영상 비효율을 개선하면 초과 수익을 낼 수 있어 안정적인 배당도 가능할 것이란 게 차파트너스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보조금이 나가는 버스회사의 주주 변동에 대해 사전 검열을 실시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최근 65개 준공영제 버스회사 전체에 주식 양수도 또는 주주 변경 시 서울시와 협의하라는 공문을 내려보냈다. 시와 사전 협의하지 않으면 경영평가에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대전시는 버스회사가 자기자본비율 40% 이상, 차입금 의존도 20% 이하 등 재무 건전성 지표를 맞추지 못하면 배당을 금지하도록 지난해 조례를 개정했다. 고배당으로 회사가 부실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지난해 전국 7대 도시 준공영제 시내버스에 투입된 재정보조금은 1조67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나타냈다.
시내버스 회사의 IPO에 대해선 찬반이 엇갈린다. IB업계 관계자는 “시장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새로운 인프라 투자처를 발굴해 시민들이 이익을 공유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반면 IPO로 인해 실적 위주 경영을 추구하면 교통복지 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이신해 서울연구원 연구실장은 “준공영제는 시민들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이동수단을 서비스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