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지는 이번 투기 스캔들을 계기로 돌아봐야 할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공공의 비대화’다. 특히 현 정부는 5년간 공무원 17만4000명, 공기업 등 공공부문에서 64만 명 증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공기업을 필두로 정규직 전환자만 지난해 말까지 19만9538명에 달한다. LH에서도 2978명이 그렇게 정규직이 됐다.
하지만 정부는 성급히 덩치만 키웠을 뿐 그에 맞는 직무윤리와 투명성 강화 등 ‘진짜 공공성’은 확보했다고 보기 어렵다. 공공부문 스스로 윤리·준법의식을 강화하고 내부 통제시스템도 한층 효율화했어야 했다. 기존에 그런 제도가 없지 않았지만, 허둥대며 ‘큰 정부’로 치닫느라 꼭 필요한 보완장치를 간과했다. 이제라도 정부는 부족한 점을 사과하고 근본 대책을 내놔야 한다. 이른바 ‘인국공(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 때의 노노(勞勞)갈등 등도 본질은 이 문제에 닿아 있다. 공공성·공정성은커녕 염치없는 ‘내몫 챙기기’에서 비롯된 공공의 추태나 다름없다. 결국 친(親)노조 기반의 공공 비대화가 죽인 것은 효율성과 경제성만이 아니었다.
덩치만 키우느라 현 정부는 ‘공직의 엄중함’에 대한 성찰이 부재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정책 정보’를 사적 이익에 쓴 게 또 어디에 어떻게 숨어있는지 의구심만 커진다. 이번 사태가 불거지기 전까지 몰랐거나, 눈치챘으면서도 미뤘거나 어느 쪽이든 문제는 심각하다. 헌법기관인 감사원이 탈원전 과정의 절차 등을 살피는 데 여권이 방해했던 것에 여러 시사점이 있다. 논란 남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발족과 민정수석 사표 소동에 이어 지금까지 이어지는 검찰 흔들기를 보면 공직 내부의 감시·통제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나 있는지 의구심이 들 지경이다.
큰 정부에 대한 우려와 경계는 근대국가 태동 이래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공공 비대화에 따른 비용증가, 정부지출 남용과 무분별한 재정확장 같은 문제가 일차적 부작용이다. 공무원이 늘 때마다 규제도 덩달아 많아지는 더 큰 폐해도 있다. 이제 비효율과 함께 권한의 사적 오남용이 공직자의 최우선 경계 대상이라고 행정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할 판이다.
공공의 엄중함, 공인의 자세를 모르는 이들이 정부뿐 아니라 국회와 법원에도 널려 있다. 특정 공기업의 일탈을 넘어 비대해진 공공부문이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한시 빨리 바로잡지 못하면 국가시스템이 위기에 처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