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의 방위산업 계열사인 한화시스템이 미국 개인항공기(PAV) 기업 오버에어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했다. 미국 인공위성 전문업체와 캐나다 드론·안테나 업체에도 지분을 투자한다. 한화시스템은 대규모 인수자금 마련을 위해 올 상반기에 1조2000억원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시스템은 오는 5월 초 이사회를 열어 오버에어를 비롯한 해외 업체 세 곳의 투자계획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그룹 고위 관계자는 “오버에어 등 해외 업체와의 인수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며 “이번 투자를 계기로 태양광·수소에 이어 항공·우주 분야를 그룹의 신성장 동력으로 키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오버에어는 도심항공교통(UAM)인 에어택시 기체 전문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월 2500만달러(약 283억원)를 투자해 오버에어 지분 30%를 인수했다. 오버에어의 원천기술을 100% 활용하기 위해 지분 전량을 인수하기로 했다는 것이 한화 측 설명이다. 한화시스템은 2024년까지 기체를 개발하고, 2025년 에어택시 시범 운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이와 함께 인공위성 및 안테나 업체 지분 투자를 통해 저궤도 위성통신사업에도 진출하기로 했다. 이번 인수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이 주도했다. 김 사장은 이달 7일 출범한 그룹의 항공우주 전담 태스크포스(TF)인 스페이스허브 팀장을 맡고 있다.
오버에어 등 해외 업체 세 곳의 투자에는 700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화시스템은 29일 이사회를 열어 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1조2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지난 5일 1조3460억원을 유상증자한 한화솔루션에 이어 올 들어 한화그룹이 추진하는 두 번째 조 단위 증자다. 6월 신주 발행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이 중 7000억원을 다른 법인 증권 투자에 활용한다고 공시했다.
한화시스템이 미국 오버에어 등 해외 업체 세 곳의 대규모 투자에 나선 것은 급성장하는 에어택시 및 인공위성통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조기 상용화를 위해선 선제적으로 과감한 인수합병(M&A)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이 인수 작업을 지휘한 것도 그룹 차원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게 한화 측 설명이다.
개인항공기(PAV) 개발업체인 오버에어는 수직 이착륙기 전문업체인 카렘 에어크래프에서 분사한 기업이다. 한화시스템은 지분 취득 후 개발자들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오버에어 본사에 대거 파견했다.
오버에어는 도심항공교통(UAM) 에어택시 기체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 사장은 오버에어가 보유한 원천기술을 100% 활용할 수 있어야만 에어택시 조기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봤다. 에어택시 시장은 항공업체와 자동차 업체들이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미국 보잉과 유럽 에어버스는 지난해부터 에어택시 기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도요타, 독일 폭스바겐 등 자동차 기업도 전기차 기술을 앞세워 에어택시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는 UAM 시장이 2026년 1560억달러(약 177조원)에 이어 2040년에 1조4740억달러(약 167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30.4%에 달한다.
업계는 에어택시의 상용화 시점을 2025년께로 예측하고 있다. 2030년부터는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2024년까지 기체를 개발하고, 2025년 에어택시 시범 운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오버에어에 대한 최종 인수는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IFUS)와 산업보안국(BIS) 허가를 거친 후 마무리된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표면에서 500㎞가량 떨어진 곳에 있어 통신속도가 다른 위성에 비해 빠르다. 저궤도 위성을 활용하면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통신 지연이 없는 5G·6G가 가능해진다.
모건스탠리는 저궤도 위성 통신서비스 시장이 2040년까지 연평균 3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에어택시가 상용화하면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서비스가 필수라는 것이 그룹 관계자의 설명이다.
스페이스 허브는 그룹 계열사에 흩어져 있는 우주 관련 핵심 기술을 한데 모은 태스크포스(TF)다. 김 사장은 이날 열린 주주총회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내이사도 겸직하기로 했다. 항공우주 사업의 핵심 축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사내이사를 겸하면서 경영 일선에 참여할 예정이다.
해외 업체 세 곳에 대한 전체 투자 규모는 7000억원 가량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화시스템이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5398억원)을 웃돈다. 한화시스템은 올 상반기 1조2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기로 한 것도 사업에 필요한 ‘실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한화시스템은 이 중 7000억원을 오버에어 인수 등에 투입하고, 나머지 자금은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강경민/김진성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