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불황과 비혼·만혼이 심화하면서 30대 미혼남녀 절반 이상이 이른바 '캥거루족'으로 불리는 부모동거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개발원이 30일 펴낸 'KOSTAT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의 비율은 54.8%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개발원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인구의 세대 유형을 조사한 결과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30∼34세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이 57.4%, 35~39세는 50.3%로 각각 집계됐다. 40~44세의 경우 미혼 인구의 44.1%가 여전히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미혼 인구를 통틀어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의 비율은 62.3%였다.
부모와 함께 사는 미혼 인구의 경우 42.1%가 비취업 상태로 집계됐다. 취업자 비율은 57.9%에 그쳐 경제적 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꾸려가는 청년 1인 가구는 취업자 비율이 74.6%로 부모 동거 가구보다 16.7%포인트 높았다.
주거 형태별로 보면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인구 가운데는 자가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70.7%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월세(14.8%), 전세(12.1%) 등 순이었다. 반면 미혼 1인 가구는 59.3%가 월세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가에 거주하는 경우는 11.6%에 불과했다.
또 결혼 제약 요인으로는 미혼남녀 모두 '본인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남성 18.4% 대 여성 23.4%)를 주된 이유로 꼽았다. 주로 남성이 '소득이 적어서'(15% 대 2.6%), '비용 부담이 커서'(6.0% 대 2.8%) 등 경제적인 사유를 꼽았다.
이번 연구지에는 주택 실거래가 분석인 '실거래가를 통해 본 주거 정책과 주택 가격의 변화'(최은영 한국도시연구소 소장 등) 연구도 실렸다.
연구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건수는 지난해 110만9793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국 호당 매매가(평균)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20년 역대 최고가(3억3673만원)를 찍었다.
이외에도 2000년 7.2%였던 고령인구가 2067년 46.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는 내용의 '고령화 시대, 근거기반 정책을 위한 통계는?' 연구 자료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2015년과 2020년 소비재 특성을 비교한 연구 자료도 함께 수록됐다.
박시내 통계계발원 서기관은 "청년층 고용 불황이 지속되고 주택 비용이 상승하는 가운데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 세대에게서 경제적·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는 캥거루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