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최 노인 : (화단 쪽을 가리키며) 저기 심어 놓은 화초며 고추 모가 도무지 자라질 않는단 말이야! 아까도 들여다보니까 고추 모에서 꽃이 핀 지는 벌써 오래전인데 열매가 열리지 않잖아! 이상하다 하고 생각을 해 봤더니 저 멋없는 것이 좌우로 탁 들어 막아서 햇볕을 가렸으니 어디 자라날 재간이 있어야지! 이러다간 땅에서 풀도 안 나는 세상이 될 게다! 말세야 말세!
이때 경재, 제복을 차려입고 책을 들고 나와서 신을 신다가 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는 깔깔대고 웃는다.
경재 : 원 아버지두……
최 노인 : 이눔아 뭐가 우스워?
경재 : 지금 세상에 남의 집 고추 밭을 넘어다보며 집을 짓는 사람이 어디 있어요?
최 노인 : 옛날엔 그렇지 않았어!
경재 : 옛날 일이 오늘에 와서 무슨 소용이 있어요? 오늘은 오늘이지. (웅변 연사의 흉을 내며) 역사는 강처럼 쉴 새 없이 흐르고 인생은 뜬구름처럼 변화무쌍하다는 이 엄연한 사실을, 이 역사적인 사실을 똑바로 볼 줄 아는 사람만이 자신의 운명을 개척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소한도로 아셔야 할 것입니다! 에헴!
<중략>
최 노인 : 듣기 싫어! (화초밭으로 나오며) 이 집안에서는 되는 거라곤 하나도 없어! 흔한 햇볕도 안 드는 집이 뭣이 된단 말이야! 뭣이 돼! (하며 화초밭을 함부로 작신작신 짓밟고 뽑아 헤친다.)
어머니 : (맨발로 뛰어내리며) 여보! 이게 무슨 짓이오! 그렇게 정성을 들여서 가꾼 것들을…… 원…… 당신도……
최 노인 : 내가 정성을 안 들인 게 뭐가 있어…… 나는 모든 일에 정성을 들였지만 안 되지 않아! 하나도 씨도 말야!
- 차범석, 불모지 -
화초며 고추 모가 도무지 자라질 않는단 말이야! … 열매가 열리지 않잖아! … 저 멋없는 것이 좌우로 탁 들어 막아서 햇볕을 가렸으니
소설과 희곡의 가장 큰 차이는 서술자가 있느냐 없느냐에 있다. 소설과 달리 희곡에는 극 중 상황이나 인물의 심리, 사건 전개 양상 등을 설명하는 서술자가 없다. 현대 실험 연극에서 등장인물이 상황이나 인물의 심리 등을 설명하기도 하지만, 소설의 서술자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비중은 작다. 따라서 희곡은 인물의 대사가 매우 중요하다. ‘최 노인’의 첫 번째 대사를 소설에서는 많은 부분을 서술자의 설명으로 다음과 같이 처리할 것이다.“저걸 보라고.”
최 노인이 가리키는 화단 쪽을 바라보았다. 심어 놓은 화초며 고추 모가 도무지 자라질 않았다. 고추 모에서 꽃이 핀 지는 벌써 오래전인데 열매가 열리지 않았다. 이상하긴 이상했다.
“이게 다 저 멋없는 것 때문이라고.”
최 노인이 가리킨 것은 빌딩이었다. 그것으로 인해 좌우로 탁 들어 막혀서 화단에는 햇볕이 들어오지 않았다. 길게 드리운 차가운 그림자로 인해 앞으로는 땅에서 풀도 안 날 듯 싶었다.
“말세야, 말세!”
최 노인은 답답한 듯 혀를 찼다.
따라서 극 중 상황과 인물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등장인물의 대사에 집중해야 한다.
이 작품에서 극 중 상황은 ‘좌우로 탁 들어 막아서 햇볕을 가’리는 ‘저 멋없는 것’(최 노인의 집 옆에 들어선 빌딩)에 의해 최 노인의 ‘화단’이 망가지는 상황이다. 이것은 단지 최 노인, 개인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땅에서 풀도 안 나는 세상이 될’ 것이라는 대사에서 현대의 변화로 인해 사회 전체가 생명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최 노인의 대사를 통해 그의 심리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저 멋없는 것’이라는 대사에서 세상 변화에 대해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음을 느낄 수 있고, ‘말세야 말세!’라는 대사에서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최 노인’의 부정적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깔깔대고 웃는다.… (웅변 연사의 흉을 내며) … (하며 화초밭을 함부로 작신작신 짓밟고 뽑아 헤친다.) … (맨발로 뛰어내리며)
희곡에서 중요한 또 하나는 등장인물의 행동이다. 그 행동은 등장인물의 심리나 생각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를 느끼게 한다. 경재는 최 노인의 말을 듣고 ‘깔깔대고 웃는다.’ 여기에서의 웃음은 조소(嘲笑)라 할 만하다. 조소는 흉을 보듯이 빈정거리거나 업신여기는 일 또는 그렇게 웃는 웃음을 말한다. 한마디로 비웃는 것이다. 이는 경재가 최 노인의 생각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화초밭을 함부로 작신작신 짓밟고 뽑아 헤치는’ 최 노인의 행동은 그가 상황에 대해 분노에 차 있으며, 자신의 노력이 결실을 맺지 못하여 허망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내가 정성을 안 들인 게 뭐가 있어…… 나는 모든 일에 정성을 들였지만 안 되지 않아! 하나도 씨도 말야!’라는 마지막 대사와 함께 보면, 그 행동은 자포자기의 심리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한 최 노인의 행동에 어머니는 ‘맨발로 뛰어내리는’데, 이는 어머니의 다급한 심리를 드러낸다. ‘웅변 연사 흉내’를 내는 경재의 행동은 단순히 그의 심리를 드러내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언뜻 보면 자신의 생각을 단호하게 드러내면서, 최 노인을 놀리려는 경재의 심리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관객으로 하여금 경재의 말에 주목하게 하는 효과를 내기도 한다. 지금 세상에 남의 집 고추 밭을 넘어다보며 집을 짓는 사람이 어디 있어요? … 옛날엔 그렇지 않았어!
소설처럼 희곡도 갈등을 보여주는 문학이므로, 그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감상의 기본이다. 이 작품에서도 최 노인은 두 가지 갈등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남의 집 고추 밭을 넘어다보며 집을 짓는’ 지금 세상과의 갈등이고, 또 하나는 ‘옛날 일이 오늘에 와서 무슨 소용이 있냐’며 자신을 비웃는 경재와의 갈등이다. 즉 최 노인은 사회와 갈등을 빚는 동시에 개인과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다. 갈등은 화해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승패를 보는 경우가 더 많다. 이 작품에서도 최 노인은 패배한다. 우리는 ‘이 집안에서는 되는 거라곤 하나도 없다’는 것에서 최 노인의 패배를 목격한다. 그런데 그것이 비극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그가 ‘모든 일에 정성을 들였지만 안 되는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최 노인에게 연민의 정을 느끼는 것이다. ☞ 포인트
① 소설과 달리 희곡에는 서술자가 없음에 유의하자.② 극 중 상황이나 인물의 심리, 사건 전개 양상 등을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해 파악하자.
③ 등장인물의 행동을 통해 심리나 생각, 다른 등장인물들과의 관계를 느껴 보자.
④ 주인공이 사회 또는 다른 등장인물과 어떤 갈등에 놓여 있는지 파악해 보자.
⑤ 갈등 끝에 등장인물들이 화해하는지, 승패를 가리는지 추적해 보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