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거지'가 된 게 100% 정부 탓이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상황을 방치한 건 확실해요. 임신하면서 직장을 그만두게 되니 세상 어려운 게 더 와닿습니다.." (최혜리·38세)
문재인 정부가 정권 초반 30대 여성이 호응할 만한 복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등 표심을 얻었지만 그 또한 세금 등으로 부담이 돼 돌아오면서 해당 정책에 대한 호응이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월 10만원씩 지급되는 아동수당이 대표적이다. 이호정씨(39)는 "퍼주기 정책으로 모자른 돈을 채우려고 할 때 나같은 사람이 세금 타겟이 될 것"이라며 "남들에게 준 돈의 대가를 내가 치러야 한다는게 짜증난다"고 했다.
코로나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도 30대 여성들의 표심에 영향을 주고있다는 분석이다. 30대는 계약직 등 비중이 높은 고용취약계층 중 하나다. 정모씨(34)는 "등교 방침 등이 이랬다저랬다 명확치가 않다"며 "주변 워킹맘들이 다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 같다. 코로나 이후에 회사를 그만둔 엄마들도 꽤 있다"고 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을 문재인 정부에 돌리긴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번에 박 후보를 찍었다고 밝힌 이진영씨는 "어려운 시기이긴 하지만 다른 정부였다면 더 어려워졌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지금의 30대는 대학생 시절 운동권의 영향력이 이미 크게 위축됐던 세대다. 운동권의 이른바 '의식화' 교육을 받은 586(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에서 대학을 다녔다. 민주화에 대한 체감은 적지만 DJ정부의 남북정상회담, 참여정부 시절 탈권위적인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인상이 강하게 남아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이들이 촛불시위를 주도한 세력인 것도 정치적으로 진보 색채를 띈다기 보다는 불합리하고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사안에 대한 반발로 이해해야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과거 최순실 사태에 적용됐던 이들의 반감이 이번엔 문재인 정부를 향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회계사로 일하고 있는 김모씨(31)는 "부모님이 오세훈 찍으라고 난리였다"며 "은근히 또래 사이에서 오세훈 평가가 나쁘지 않다. 실정들은 잊혀지고, 단점은 추억으로 미화됐을수도 있다"고 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진보정권 10년과 보수정권 10년을 모두 기억하는 세대는 상대적으로 진보정권에 대한 인상이 더 좋게 남은 경우가 많다"며 "다만 DJ, 노무현 정권 시절이 점점 희미해지면서 현 30대 초반 정도는 보수진영에 대한 비토정서 역시 4050보다 적은 편인 것도 이번 선거결과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