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이어 “코로나19 초기 단계에 우리 정부는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성공적으로 개발한 진단키트와 마스크 등을 국내 수급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도 한·미 동맹이라는 양국의 특별한 관계를 감안해 미국에 직접 공수해준 적이 있다”며 “어려울 때 친구가 진정한 친구라는 것을 미국에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신 수급을 위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공을 들이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정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갖는 글로벌 서플라이체인(공급망)에서 미국을 도와줄 수 있는 분야가 많아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공장 신설이 경제 이슈임에도 교환 대상이 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교환 대상이라고 보지는 않고 검토는 할 수 있다”며 “이런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가 미국 조야로부터 한국이 백신 때문에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어떤 도움을 줘야겠다는 여론을 형성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백신 협력이 다른 분야의 협력과는 별개라고 밝힌 앞선 발언과는 모순된다. 정 장관은 “한·미 동맹 강화라든지 북한 비핵화 문제라든지 미·중 갈등 속에서 우리의 입장과 백신 분야에서의 협력은 연관이 없다고 본다”고 했다. 백신 협력을 위해 미국이 대중(對中) 견제에 나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의 협력을 얘기하면서 동시에 한편으론 두 문제가 별개라고 말한 것이다. 미국으로부터 백신을 지원받기 위해 반중(反中) 안보전선인 쿼드(4개국 안보협의체)에 참여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을 피하려다 자충수를 뒀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바이든 행정부가 명확하게 우선순위를 두는 것은 중국 견제이고 여기서부터 풀어나가야 백신이나 남북한 관계 등 나머지도 풀릴 수 있다”며 “미국이 제안한 여러 분야에서의 글로벌 공급망 구상도 한국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히냐에 따라 미국의 대응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