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반등이 가시화되면서 물가 역시 뜀박질을 하고 있다. 통상 물가 상승은 금리 상승 가능성을 높이기에 주식시장엔 악재로 받아들여 진다. 그러나 월가에선 약간의 물가 상승은 가격 전가가 가능한 몇몇 기업에게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가격 결정력을 가진 회사에게는 약간의 인플레이션이 좋을 것"이라며 "가격을 빨리 올릴 수 없는 경우엔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하며 전달(1.7%) 상승률을 웃돌았다. 코로나19 팬데믹에서 경기가 회복하면서 물가상승 압력이 더 커지는 모양새다.
기업들 입장에선 물가가 오르면 원재료 가격이 뛴다. 이에 여러 기업들이 물건값을 올리기에 나섰다. 세계 최대 소비재업체 가운데 하나인 미국 프록터앤드갬블(P&G)은 올 가을부터 생리대, 면도기, 세제 등 자사 제품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기스 기저귀로 유명한 킴벌리 클라크 역시 오는 6월 말부터 기저귀, 화장지 등 자사 제품의 가격을 올릴 예정이다.
제품값이 올라가면 매출이 줄어들 수 있는 위험이 있기에 마냥 좋은 소식은 아니다. 그러나 월가에서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지적한다. 패트릭 팔프리 크레딧스위스 선임연구원은 "기업들이 이익을 올리기 위해 가격을 높이는 것을 보고있지만 그 결정이 기업에 해가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경기 회복과 리플레이션(경기 회복 초입에 완만한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을 동반하는 현상) 양쪽에서 수혜를 볼 수 있는 종목을 꼽았다. △브로드컴(AVGO) △CNH인더스트리얼(CNHI) △에머슨일렉트릭(EMR) △허크홀딩스(HRI) △헤스(HES) △메리어트인터내셔널(MAR) △프린시펄 파이낸셜 그룹(PFG) △유니온 퍼시픽(UNP) △월트디즈니(DIS)가 그 예다. 리플레이션 테마의 경우 가격 결정력이 있는 인플레이션 수혜주가 포함됐다.
이슬기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