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만큼 인간을 능동적이게 만드는 도구가 또 있을까. 바람과 물살만으로도 흘러가는 배나 엔진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와 달리 자전거는 사람이 페달을 밟지 않으면 단 1㎝도 움직이지 않는다.
자전거는 또 정직하다. 페달을 많이 밟으면 더 멀리, 빠르게 밟으면 더 빨리 앞으로 나아간다. 자전거는 인간의 ‘성실함’도 시험한다. 한번 자전거를 타면 끊임없이 페달을 밟아야 한다. 페달을 멈추는 순간 몸도 자전거도 쓰러지고 만다.
20년 전만 해도 자전거는 우리에게 신문을 구독하면 주는 사은품 정도로만 인식됐던 게 사실이다. 산업화와 문명의 발전으로 더 빨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들에 밀렸던 탓이다.
2010년대 들어 전국에 자전거도로가 확산되고, 전문 선수들이 타는 것으로 여겨지던 로드(도로용) 자전거가 일반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기껏해야 동네 한 바퀴 정도 다닐 수 있을 것 같은 무거운 철제 자전거는 점차 수백㎞를 단번에 다닐 수 있을 만큼 가벼워진 카본 파이버(탄소섬유) 자전거로 변신했다. 자전거 무게 1㎏을 줄이기 위해 수백만원을 쓰는 이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자전거는 더 이상 천덕꾸러기가 아니라 마라톤이나 수영처럼 오직 내 힘으로 얼마나 더 빨리,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는지를 증명하게 해주는 고급 이동수단으로 변모했다.
지난해 초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자전거의 인기에 다시금 불을 지폈다.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자 사람들은 답답하고 북적거리는 실내 대신 탁 트인 야외 공간으로 떠나길 갈망했다. 그런 이유로 자전거를 타고 길을 나선 이들은 “차를 탔을 때 무심코 지나치던 자연의 소소한 풍경들과 바람의 감촉을 느낄 수 있다. 목적지가 끝이 아니라 거기까지 가는 모든 과정을 오롯이 즐길 수 있다는 게 자전거의 매력”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자전거를 사라. 살아 있다면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예찬했다. 기분이 울적하고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또 삶에 희망이 없다고 느낄 때 자전거에 올라 페달을 밟아보자. 땀을 흘리며, 가쁜 숨을 몰아쉬며, 발을 구르며, 팔로 핸들을 지탱하며 느끼게 될 것이다. 자전거야말로 내가 진정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유일한 이동수단이라는 것을.
은정진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