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들은 지방 공립 미술관까지 세심하게 챙겼다. 각 지역 특성과 대표 작가를 감안해 대구시립미술관에는 이인성(대구 출신), 전남도립미술관에는 천경자(전남 고흥 출신), 광주시립미술관에는 오지호(전남 화순 출신) 등의 작품을 보낸 것이다. 작품을 기증받은 미술관은 “지역 예술계는 물론 주민의 예술적 소양을 끌어올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호했다.
대구시립미술관은 8명의 작품 21점을 기증받았다. 대구를 대표하는 근대화가 이인성의 대표작 ‘노란 옷을 입은 여인상’, 마찬가지로 대구의 ‘간판 화가’인 이쾌대의 ‘항구’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경북 울진이 고향인 한국 추상화의 거장 유영국의 ‘산’ 등 회화 다섯 점, 한국 추상 조각의 선구자인 김종영의 작품 ‘67-4’도 기증품에 포함됐다. 대구는 이 회장의 고향이기도 하다.
전남도립미술관도 전남 출신 한국 미술 거장의 작품 21점을 받았다. 김환기의 ‘무제’는 본격적인 전면점화(全面點畵) 작업을 시작하기 전 한국의 전통미를 표현한 작품이다. 천경자의 대표작인 ‘꽃과 나비’ ‘만선’도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오지호의 ‘풍경’과 ‘복사꽃이 있는 풍경’ 등에는 공기의 순환을 표현한 듯한 특유의 필치가 잘 드러나 있다. 이지호 관장은 “이번 기증으로 수준 높은 미술문화를 지역에서도 향유할 수 있게 됐다”며 “오는 9월부터 전시회를 열고 작품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시립미술관에는 총 30점의 작품이 기증됐다. 김환기의 작품 5점과 오지호 작품 5점, 이응노 작품 11점 등이다. 이로써 광주시립미술관이 보유한 김환기 작품은 3점에서 단숨에 배 이상인 8점으로 뛰어올랐다. 앉아 있는 여성을 그린 임직순의 ‘포즈’도 눈에 띈다. 미술관 관계자는 “임직순 화백의 정물화와 풍경화만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의미가 더 크다”고 설명했다.
이중섭이 은색 담배 종이에 그린 ‘은지화(銀紙畵)’ 4점과 연인 야마모토 마사코에게 보낸 ‘엽서화’ 4점도 광주에 왔다. 이중섭의 은지화 중 대부분이 1950년대 초반 작품인데, 이번에 기증받은 작품 4점 중 3점이 희소한 1940년대 작품이다. 이중섭의 ‘엽서화’는 1940∼1943년 연인에게 글자 없이 그림만 그려 보낸 작품으로, 현재 90여 점이 전해온다.기증품은 이중섭 초기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쓰이게 된다.
성수영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