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4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서울시는 유치원 무상급식을 빠르게 추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오 시장이 조희연 서울교육감의 유치원 무상급식 전면 도입안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이다. 서울교육청은 2023년 유치원 무상급식 전면 도입을 목표로 올해 15곳에서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오 시장은 또 “유치원 무상급식만 할 경우 어린이집과의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어린이집 급식·간식비를 현실화하자”고 이날 국무회의에서 제안했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유치원 780곳의 한 끼 식사가격은 평균 3100원이다.
어린이집의 경우 한 끼 급식과 두 번의 간식비를 포함해 만 0~2세 1900원, 만 3~5세 2500원으로 기준가격이 책정돼 있다. 보건복지부는 표준보육비용을 지난해에 11년 만에 인상한 바 있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어린이집 급식비의 부족분에 대해 45~1500원으로 제각각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로 급식수준이 천차만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지난해 제주에선 극소량의 반찬이 담긴 어린이집 급식이 시민단체에 의해 공개돼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오 시장은 “유치원 무상급식만 전면 시행되면 어린이집 영유아가 역차별받는 상황이 고착화할 것”이라며 “정부가 나서 어린이집 급식·간식비 현실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오 시장의 제안에 대해 이날 국무회의에 참석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정부와 지자체가 재정분담 비율을 놓고 갈등을 빚을 가능성은 남아 있다. 서울시의 유치원 전체가 무상급식을 시행하면 매년 약 834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교육청은 이 비용을 초·중·고교와 마찬가지로 교육청과 서울시, 자치구가 각각 5 대 3 대 2로 부담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무상급식을 둘러싼 논란은 2011년 오 시장 재직 시절 서울시의회가 ‘친환경 무상급식 조례안’을 제정하며 시작됐다. 당시 오 시장은 “무상급식은 무차별 복지”라며 조례안에 반대해 서울시장직을 걸고 주민투표를 했다. 주민투표는 무상급식에 찬성하는 시민들의 투표거부로 투표함을 열 수 있는 조건(투표율 33.3%)에 미치지 못했고, 오 시장은 시장직을 내려놔야 했다.
하수정/최만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