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입문한 中企, S부터 먼저 챙겨라"

입력 2021-05-24 18:04   수정 2021-05-25 00:55


KB금융그룹은 지난해 9월부터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한 대출을 중단했고, 채권 발행에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탈석탄 규제의 적용 범위가 덩치가 큰 대기업으로 한정돼 있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는 석탄발전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중소·중견기업도 KB금융그룹을 통해 자금을 구하기 힘들어진다.

조용범 국민은행 ESG기획부장은 24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에서 “중소기업들도 ESG 경영을 준비해야 한다”며 탈석탄 금융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하반기부터는 일반 중소기업 대출에도 ESG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라며 “ESG 경영의 수준이 대출 심사 통과 여부와 금리 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이날 포럼은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황수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이형희 SK SV위원회 위원장, 조봉현 기업은행 부행장·경제연구소장을 비롯해 법무법인, 금융회사, 컨설팅사, 중소기업 관계자 등 15명이 참석했다.

이광욱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는 “선진국의 ESG 경영 수준을 10점으로 놓고 봤을 때 국내 대기업은 7점, 중소기업은 4점 수준”이라며 “중소기업의 당면 과제는 강화된 법률의 ‘허들’을 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달 말 ESG 중 S(사회)에 해당하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이 나온다”며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확대 적용되고, 집단소송까지 시행되면 중소기업의 숨을 곳이 사라진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에 ‘선택과 집중’ 전략을 권했다. 사내에 전문가가 드물고 ESG에 투입할 재원도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 조언이다. 이 변호사는 “E(환경)를 강화하는 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며 “S를 먼저 챙기는 것이 비용 대비 효율이 높다”고 말했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정남 삼정KPMG 상무는 “정부가 중소기업에 ESG 경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확실한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며 “중소벤처기업부, 동반성장위원회 등이 중소기업 ESG 경영을 지원하고, 대한상의와 같은 경제단체가 중간에서 조율하는 ‘그림’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우태희 상근부회장은 “노하우가 많은 대기업들이 협력업체의 ESG 경영을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중소기업의 ESG 역량을 키우고 대기업의 ESG 리스크도 줄이는 일석이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상의에서도 교육, 컨설팅 등 중소기업을 위한 ESG 지원 프로그램을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