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대다수 경제전문가가 ‘마차가 말을 끄는 격’인 소주성의 문제점을 지적해왔다. 평범한 국민도 생업 현장에서 소주성의 폐해를 수없이 체험한 지 오래다. 경기회복 조짐이 엿보이는데도 지난 1분기 실질가계소득이 3년6개월 만에 감소(-0.7%)했다. 특히 근로소득(-1.3%)과 사업소득(-1.6%) 감소는 달리 변명의 여지가 없다. 자영업자 처지는 긴말이 필요 없다. 최저임금 급등 여파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작년 한 해 16만5000명 줄어든 대신, 혼자 일하는 자영업자는 9만 명 늘었다. 바닥 경제부터 초토화하고 있는 것이다.
진보좌파 학자들조차 소주성이 기존 일자리만 보호하고, 있던 일자리는 없앴다고 비판할 정도다. 2018년 최저임금이 16.4% 급등하면서 일자리가 최대 34만7000개 증발했다는 것이다. 이러니 중소기업의 41%가 내년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고용 감축’밖에 답이 없다고 하고,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을 동결해도 ‘폐업’을 고려하는 판이다.
국민이 다 아는 소주성의 실패상을 여당 대표가 반성하기까지 4년이나 걸린 것은 곱씹어 볼 대목이다. 몰랐다면 무능한 것이요, 알고도 모른 체했다면 무책임한 것이기 때문이다. 경제성장의 결과인 소득을 높이면 성장할 수 있다는 오도된 이념의 허상이 ‘일자리 절벽’, 코로나 이전부터 경기 침체 등 총체적 민생난을 낳았음을 솔직히 인정해야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이런 점에서 송 대표의 반성은 소주성과 관련한 정부의 오판과 실책을 바로잡는 정책 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먼저 내년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시급 1만770원, 23.5% 이상)을 주장하는 민주노총에 달려가 설득해야 마땅하다. 주거비 등 가처분소득이 문제라면 집값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확대와 시장 규제 완화에 좌고우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더 이상 소주성 같은 어리석음을 고집해선 안 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