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이 22일 발표한 ‘2021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올해 1분기 말 민간신용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기업부채)는 216.3%로 작년 1분기 말에 비해 15.9%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보다 2.3%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0년 1분기말 이후 최고치다.
가계부채가 불어난 것은 가격이 치솟는 부동산을 사들이려는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의 결과다. 소득 수준보다 집값이 더 빠르게 뛰자 가계는 차입금으로 부동산 매입 재원을 충당했다. KB국민은행 등에 따르면 올 1분기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17.8배로 통계를 작성한 2004년 후 최고치로 나타났다. PIR이 17배라는 것은 17년 동안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사태로 현금흐름이 나빠지자 영업자금용 차입금을 늘렸다.
하지만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경로로 실물경제의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경고음도 커졌다. 한은이 이번에 산출한 금융불균형 수위를 나타낸 금융취약성지수(FVI·주택가격 상승률 등 39개 지표로 산출)는 올 1분기 58.9로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19년 4분기(41.9)보다 높았다. 외환위기 때인 1997년 11월(100)을 밑돌지만 장기평균(50안팎)은 넘어섰다.
가계부채가 쌓이는 등 금융불균형이 누적되는 상황에서 외부의 경제 충격이 오면 성장률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한은은 현재 금융불균형 수준에서 10%의 확률로 발생하는 경제적 충격이 나타나면 올해 성장률이 -0.75%를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4%)를 큰 폭 밑도는 수준이다. 경제적 충격은 전세계 중앙은행이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코로나19 상황이 최악으로 치다는 등을 염두에 둔 것이다.
한은은 이 같은 금융불균형 수위가 올해부터 2024년까지 갈수록 올라가고, 그해에 10% 확률로 발생하는 경제적 충격이 나오면 2024년 성장률은 -2.2%를 기록할 수 있다고 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24년 한국 성장률(2.4%)보다 4.6%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한은은 이처럼 나빠지는 금융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뜻도 내비췄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금리정책을 결정 과정에서 누적되는 금융불균형 등도 고려해야 한다"며 "적절한 시점부터 완화적 통화정책을 질서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