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민·관 합동으로 6G 전략회의를 열고 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6G는 5G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50배 빠른 통신 기술이다. 다가올 ‘만물지능인터넷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아직 5G가 초기 상용화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6G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정부는 6G 시대를 앞서나가기 위해 우선 핵심 기술 R&D에 2021~2025년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1초에 1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기술 △초고주파 영역인 100~300기가헤르츠(㎓) 활용 기술 △고도 10㎞ 위까지 적용 가능한 이동통신 기술 △5G 대비 지연시간을 10분의 1로 줄이는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을 확보할 계획이다. 고도 10㎞까지 아우르는 통신 기술은 플라잉카, 드론 등 비행체에 대한 Gbps급 통신 구현을 염두에 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해외 주요국과의 공조도 강화한다. 이날 회의에서 한국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공동연구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6G 분야 공동 연구를 한다. 정부는 중국 정보통신연구원, 핀란드 오울루대와도 6G 공동연구를 모색한다. 국제공동연구에는 예산 170억원이 투입된다.
6G와 같은 통신 기술은 국제표준을 만드는 작업도 중요하다. 정부는 국제표준 제정 지원에도 예산 50억원을 배정했다. 아울러 KAIST와 성균관대, 고려대를 6G 대학연구센터로 지정해 관련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해외 주요국도 6G 준비에 돌입한 만큼 한국이 세계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LG전자 등 민간영역에서도 6G 기술 개발에 적극적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자체 시험에서 6G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시스템 구동에 성공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