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연합포럼은 17일 ‘임금, 근로시간, 노동생산성 국제비교와 시사점’을 주제로 제3회 온라인 세미나를 열었다. 박서우 포럼 연구원은 주제발표에서 “2011년 대비 지난해 국내 근로자의 평균 근로시간은 9% 감소한 반면 임금은 35% 늘어 시간당 평균임금이 49%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국제 비교가 가능한 구매력평가지수(PPP) 기준 시간당 평균임금은 한국이 2015년 대비 20.1% 증가해 미국(12.5%), 독일(17.9%), 일본(-1.5%)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 평균 근로시간이 더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박 연구원은 노동생산성은 임금 상승분에 크게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부가가치 기준 노동생산성은 2015년 대비 지난해 9.8% 상승하는 데 그쳐 같은 기간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25.6%)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대비 2019년 주요국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과 시간당 노동생산성 상승률 격차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14.8%포인트로, 미국(12.6%포인트), 영국(14.2%포인트) 등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정만기 포럼 회장은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과 더딘 노동생산성 증가는 성장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던진다”며 “노동생산성 제고와 고용 확대를 위해선 고부가가치 신산업에 지속적으로 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