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이 만료되는 항공업계가 추가 연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하늘길이 여전히 막혀 경영 환경이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원금이 끊기면 업체들로선 직원 무급휴직 등이 불가피하고 자칫 대량 실업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 항공산업 관련 15개사의 16개 노조는 고용유지지원금 연장을 촉구했다. 대한·아시아나·제주항공 조종사노조, 한국공항노조, 서울공항리무진노조 등이 참여했다. 한국민간항공 조종사협회는 별도의 지원금 연장 촉구 성명서를 냈다.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는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사업체의 고용유지 조치를 위해 휴업·휴직 수당 일부를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기업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고 근로자의 실직을 막는 데 역점을 뒀다. 유급휴직은 최대 180일까지 정부가 평균 임금의 70%인 휴업 수당의 90%를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기업이 부담한다.
항공업계는 지난해 4월부터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해 연장 신청하는 방식으로 올해 9월까지 17개월간 받고 있다. 다만 이달 말로 지원 만료가 다가오면서 고용불안 우려가 재차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발 경영환경 악화가 아직 개선될 여지가 좀처럼 보이지 않아서다.
노조는 "자금난에 빠진 저비용항공사(LCC)와 조업사가 지원 종료 이후 자체 휴업수당을 지급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17만 항공산업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조종사협회는 백신 접종율(2차 완전 접종, 지난달 25일 기준)이 25.1%에 그쳐 집단면역 기준으로 제시된 '접종율 70%' 달성 시점까지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 조치가 지속될 전망인 만큼 항공업 경영난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했다.
특히 화물 사업으로 위기를 헤쳐나가는 대형항공사와 달리 화물 사업이 취약한 LCC의 경우 직격탄이 예고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LCC 4곳의 매출은 코로나19 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 79.9% 급감했다. 지원금까지 중단되면 항공사들의 무급휴직 전환이 불가피하고, LCC 업계는 구조조정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올 상반기 매출이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상반기의 반토막(-46.8%) 수준이었음에도 고용은 4.8% 감소로 선방한 것은 지원금 효과도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지상조업 종사자 5000여 명의 절반이 코로나19가 종료될 경우 복귀하는 조건으로 이미 정리해고 당했다"면서 "이들의 30%는 생활고로 이직했다"고 설명했다.
유가 고공행진도 항공업계에겐 부담으로 작용한다. 8월말 기준 서부텍사스산원유(WTI)의 경우 배럴당 70달러에 육박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한때 배럴당 10달러대까지 떨어졌던 유가는 100달러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리 인상 가능성도 있어 부채 비중이 높은 항공사 입장에선 재정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항공업계에선 이같은 위기 가중 상황을 고려해 별도의 정책·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업계 1위 대한항공의 경우 연간 기준으로 휴업에 들어가는 인원이 약 10만명에 달한다. 그만큼 업계가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지원금 연장 여부에 수십 만명의 고용 안정이 달린 점을 감안해 정부가 대승적 결단을 내려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