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의 아침 시편] ‘급행열차를 놓친 것은 잘된 일이다’

입력 2021-09-10 06:02   수정 2021-09-10 15:39

완행열차

급행열차를 놓친 것은 잘된 일이다.
조그만 간이역의 늙은 역무원
바람에 흔들리는 노오란 들국화
애틋이 숨어 있는 쓸쓸한 아름다움
하마터면 나 모를 뻔하였지.

완행열차를 탄 것은 잘된 일이다.
서러운 종착역은 어둠에 젖어
거기 항시 기다리고 있거니
천천히 아주 천천히
누비듯이 혹은 홈질하듯이
서두름 없는 인생의 기쁨
하마터면 나 모를 뻔하였지.


*허영자 : 1938년 경남 함양 태생. 숙명여대 국문과 졸업. 1962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가슴엔 듯 눈엔 듯』, 『친전』, 『조용한 슬픔』, 『기타를 치는 집시의 노래』, 『은의 무게만큼』, 『투명에 대하여』, 『마리아 막달라』 등 출간. 월탄문학상, 편운문학상, 목월문학상, 허난설헌문학상 등 수상.
---------------------------------------------


열차는 기나긴 철로 위를 달리지만 언젠가는 종착역에 다다릅니다. 우리 인생길도 그렇지요. 그 여정에는 급행도 있고 완행도 있습니다. 세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급하게 달릴 때는 주변 풍경을 제대로 보지 못하지만, 속도를 늦추면 비로소 삶의 단면들이 하나씩 보입니다.

허영자 시인의 인생 여로(旅路)도 그랬습니다. 그가 태어난 시기는 일제강점기였죠. 칼을 찬 일본 순사가 말을 타고 나타나면 아이들은 기겁해서 숨었습니다. 어른들은 놋그릇 공출 때문에 식기들을 땅속에 묻기 바빴지요.

시인의 고향인 경남 함양 손곡리는 지리산을 끼고 있는 마을이었습니다. 광복 이후 좌우대립과 6·25 때 빨치산 토벌 과정에서 숱한 비극이 이어졌지요. 손곡리는 전쟁 통에 마을 전체가 불에 타 없어졌고, 나중에 장항리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완행길의 ‘누비질’과 ‘홈질’ 원리
유년 시절부터 숨 가쁜 ‘급행의 속도’에 휩싸인 그를 차분하게 다독이고 어루만져 준 것은 할머니와 어머니였지요. 그는 태어날 때부터 몸이 약했습니다. 어릴 때 동생을 잃은 뒤 무남독녀로 자랐죠. 그래서인지 지극한 사랑과 엄격한 훈육을 동시에 받으며 성장했습니다. 그 자양분의 뿌리에서 둥글고 완만한 ‘모성(母性)의 시학’이 싹텄지요.

그의 어머니는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도 ‘천천히 아주 천천히/ 누비듯이 혹은 홈질하듯이/ 서두름 없는 인생’의 의미를 그에게 일깨워줬습니다.

‘누비질’은 옷감 두 겹 사이에 솜을 얇게 넣고 바늘로 촘촘히 꿰매는 일입니다. 손놀림이 섬세해야 하지요. 그러다 보면 세상 보는 눈도 그만큼 꼼꼼하고 세밀해집니다.

‘홈질’은 두 옷감을 포개어 바늘땀을 위아래로 드문드문 잇는 일입니다. 이 또한 삶의 앞뒷면을 찬찬히 살피고 서로 포개어 깁는 자세와 닮았지요. 이렇게 손금 들여다보듯 자세히 관찰하면 인생의 내면 풍경이 속속 눈에 들어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한 편인 ‘자수(刺繡)’에도 이런 마음이 수놓아져 있습니다.

‘마음이 어지러운 날은/ 수를 놓는다.// 금실 은실 청홍실/ 따라서 가면/ 가슴속 아우성은 절로 갈앉고// 처음 보는 수풀/ 정갈한 자갈돌의/ 강변에 이른다.// 남향 햇볕 속에/ 수를 놓고 앉으면/ 세사번뇌/ 무궁한 사랑의 슬픔을/ 참아 내올 듯// 머언/ 극락정토 가는 길도/ 보일 성싶다.’
팔순 넘은 ‘유목(幼木·어린 나무)의 시인’
박목월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한 그는 2008년 제1회 목월문학상 수상시집 『은의 무게만큼』에서 어머니와 자신의 세월을 바느질처럼 촘촘하게 겹쳐 누볐지요. 그 시집 속의 시 ‘은발’에서 ‘머리 위에/ 은발 늘어가니/ 은의 무게만큼/ 나/ 고개를 숙이리’라고 노래한 원숙의 미학도 어머니로부터 체득한 덕목이었습니다. 그는 이 시집을 아흔두 살의 어머니에게 바쳤고, 어머니는 그로부터 2년 뒤에 돌아가셨습니다.

그는 늘 “예술과 모성은 한 뿌리에서 나왔다”고 얘기합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말처럼 ‘여성은 10개월 동안 태아를 품고 있기 때문에 아이의 무게만큼 인생의 무게를 알고, 그런 사람만이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런 ‘모성의 시학’을 통해 그는 딸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선생(교수)으로서, 시인으로서의 인생길을 걸어왔습니다.

그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어머니이자 선생인데, 자식이건 제자건 누군가를 기르는 일은 가장 어렵기 때문에 가장 거룩한 일”이라고 말합니다. 이런 깨달음은 ‘완행의 여정’에서 얻은 성찰의 결실이기도 합니다. 그가 ‘섬세한 필력으로 고도의 정제된 시를 노래하는 시인’이라는 호평을 받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습니다.
‘젊은 날 떫었던 내 피도 저 붉은 단감으로…’
벌써 여든이 넘었지만 그는 “오늘도 나의 재능을 회의하며 노력하는 유목(幼木·어린 나무)으로서 한없이 겸손하게 한 획 한 점을 아껴가며 엄격하게 시 쓰는 일만이 내가 할 일”이라며 스스로를 낮춥니다.

이 또한 ‘완행열차를 탄 것은 잘된 일’이라는 그의 인생철학과 맞닿아 있지요. ‘늙은 역무원’과 ‘들국화’ 사이에 ‘애틋이 숨어 있는 쓸쓸한 아름다움’까지 ‘하마터면 나 모를 뻔하였지’라는 구절이 그래서 더욱 속 깊게 다가옵니다.

내친 김에 그의 완행 인생이 낳은 또 다른 명시 ‘감’을 한 편 더 소개합니다.

‘이 맑은 가을 햇살 속에선/ 누구도 어쩔 수 없다/ 그냥 나이 먹고 철이 들 수밖에는// 젊은 날/ 떫고 비리던 내 피도/ 저 붉은 단감으로 익을 수밖에는.’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