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부회장은 중소기업도 ESG 경영에 신경 써야 하는 시대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ESG 이행 수준이 낮은 기업에 ‘투자금을 빼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으며 중소기업도 예외가 아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과 협력 관계에 있는 대기업의 관리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ESG 경영이 필수가 된 배경 중 하나로 거론됐다. 우 부회장은 “프랑스 네덜란드 등 대기업에 중소기업의 공급망 관리책임을 묻도록 법제화한 나라도 있다”며 “대기업과 거래하려면 ESG를 신경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의 태도도 바뀌었다. 대한상공회의소 설문 결과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소비자 가운데 “구매 시 ESG 요소를 고려하겠다”고 답한 사람이 63%로 나타났다. 이 중 “ESG에 부정적 기업의 제품은 사지 않겠다”는 응답도 70%에 달했다.
우 부회장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처럼 글로벌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등 ‘화려한 ESG’를 하는 건 무리”라며 “경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준법을 다짐하는 등 비교적 쉬운 영역부터 손을 대야 한다”고 말했다. 협력 대기업과 ESG 전략을 상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여러 기업이 협력업체의 ESG 이행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각종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바스프와 헨켈, SK하이닉스 등이 운영하는 환경 관련 ESG 컨설팅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그는 “각종 ESG 규제에 귀를 기울이고, 금융권의 지속가능연계대출(SLL) 상품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