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된 점포의 77%(61곳)는 수도권과 광역시 등 대도시권에 몰려 있었다. A은행 관계자는 “점포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 점포를 없애면 은행의 지역재투자를 평가할 때 불이익이 있는 데다 이용객의 불편도 더 크기 때문에 지방 점포는 통폐합 결정이 어렵다”고 했다.
점포 축소는 인력 감축으로 이어졌다. 올 3월 기준 17개 은행의 직원 수는 11만5022명으로 1년 전보다 2423명(2.1%) 줄었다. 전년에는 오히려 소폭(279명) 증가했던 데서 급격하게 마이너스 전환했다.
B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 서비스 발달로 이전에도 내점 고객이 매년 7~8% 줄고 있었는데, 지난해 코로나 사태 이후 추세가 더 가팔라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간단한 거래 대부분은 이미 디지털로 넘어간 상황에서 단순 업무 위주의 영업점은 없애고 점포를 복합·대형화한다는 게 은행들의 공통된 전략”이라고 했다. 여기에는 카카오뱅크를 필두로 한 ‘무점포’ 인터넷전문은행의 약진에 맞서 점포 관리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절박함도 있다.
은행들의 점포 줄이기는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은 올 하반기에만 점포 130곳을 추가로 통폐합하기로 했다. 상반기(51곳)의 2.5배 규모다. 금감원이 급격한 점포 감소세에 제동을 걸기 위해 올해부터 점포 폐쇄 절차를 강화하고 은행별 폐쇄 현황을 반기별로 의무 공시하도록 하는 등 규제를 강화했지만 대세에 지장을 주기에는 역부족이다. C은행 관계자는 “10곳 줄일 것을 8곳만 줄이는 식으로 금융당국 눈치를 볼 수는 있겠지만 디지털 금융 확산 속도를 고려할 때 점포 축소 전략 자체를 뒤집을 수는 없다”고 했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점포 축소로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커지지 않도록 여러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점포 폐쇄에 따른 소비자 불편이 큰 곳은 출장소 형태로라도 남겨두거나 버스 형태의 이동점포를 요일제로 운영하는 식이다. 편의점과 제휴해 은행 업무를 위한 별도 공간이 마련된 ‘금융 특화 편의점’을 만들거나 다른 은행과 창구를 공유하는 은행도 늘고 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