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행 중인 정보교육은 초등학교 5·6학년 2년간 17시간에 불과하며, 단시간 교육만으로는 아이들의 정보 역량이 신장되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이다. 시수 부족으로 인해 또 다른 정보교육 사교육이 성행할 가능성도 있다. 이마저도 서울 및 수도권 일부에서만 사교육을 통해 정보 역량을 함양할 뿐, 사교육은 생각도 못 하는 도서벽지에서는 공교육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장 교사들은 “2022 교육과정 개정에 정보교과를 정식으로 편제해야 하며, 공교육을 통한 제대로 된 정보교육을 동등하게 실시해 아이들의 정보교육 편차를 줄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외된 도서벽지 학교 학생은 물론 모든 학생들의 정보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제대로 된 교육 내용 반영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계는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로 가고 있다. 스마트헬스케어, 인공지능 어드바이저, 자율주행 차량 등 산업 전반에서 SW·AI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기업들은 SW 역량을 보유한 인재를 적극 채용 중이다.
SW 인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점에 정규 과목이 아니라 방과 후 활동 수준으로 이뤄지는 정보교육으로는 디지털 전환과 AI 시대의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이 정보 역량을 함양, 관련 산업으로 진로가 이어지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SW업계와 학계를 막론하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교육 개편 및 시수 확대 필요성이 연일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부에서는 2015년 7차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편성한 바 있다. 물론, 미래 사회를 살아갈 역량과 소양을 길러줄 정보교육이 초·중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편성됐다는 의의가 있으나, 그 실효성에는 의구심이 든다.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정보교육은 수업 시간도 미미할 뿐 아니라 ‘컴퓨팅 사고력’ ‘디지털 역량’ 함양과 동떨어진 알고리즘, 코딩 중심의 교육만 이뤄지고 있다. 게다가 정보교사 한 명이 2~5개 학교를 순회 교육하는 등 적절한 학습 지도가 어려운 형편이다.
한국의 정보교육 시수는 영국, 미국, 중국 등 해외 주요국 대비 4분의 1도 되지 않는 최저 수준이다. 선진국은 일찍 정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력 등 정보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200~400시간 이상의 정보교육을 편성 및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정보교육을 필수교과로 간주하고 있다. 우리도 이젠 정보교육과 SW를 수학·과학처럼 필수과목으로 편성해야 한다.
이번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기회다. 우리는 디지털 대전환·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정보교육 시수를 전체 과정 중 최소 3% 이상 확보해 정보 역량 기초부터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줘야만 한다. 교육부와 각 정부 부처는 해외 주요국 대비 국내의 실정과 심각성을 인식해야 한다. 정보교육의 개별 교과 편성 및 교육 시수 확대를 통해 향후 20~30년을 바라봐야 하고, 우리 학생들이 20세기에 비해 단 몇 걸음이라도 수월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최소한의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