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투자증권이 한국은행 가계부채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내년 가계 이자비용은 66조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가계 이자비용 추정치(56조~59조원)와 비교해 7조~10조원 불어난 금액이다. 한은이 관련 집계를 작성한 후 최고치인 2018년(60조4000억원) 금액도 웃돈다.
2018년엔 가계신용 규모가 1500조원 수준이었지만 한은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높은 연 1.5~1.75%여서 이자부담이 컸었다.
내년 이자비용은 올 10~11월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고, 내년에도 0.5%포인트 추가 인상한다는 추정(올해 기준금리 연 1.0%, 내년 기준금리 연 1.5%)을 바탕으로 산출한 금액이다. 올해와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은 정부 목표치(올해 6%, 내년 4%)를 웃도는 9%, 5%로 추산했다.
시장에선 내년 가계 이자부담이 한투증권 추정치를 웃돌 것이라는 관측이 오히려 더 많다. 금리 오름세가 심상찮기 때문이다. 전날 대표 시장금리로 통하는 3년물 국채금리는 0.069%포인트 오른 연 1.719%에 마감했다. 2019년 5월 13일(연 1.721%) 이후 2년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올해 최저치인 1월 5일(연 0.936%)보다 0.8%포인트 가까이 뛴 것이다. 이날은 3년물 국채금리가 0.015%포인트 내린 연 1.704%에 마감했다.
한은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등 ‘돈줄’을 죌 것이라는 예상에 시장금리 뜀박질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10월과 11월에 연이어 한은이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며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지면 3년물 국채금리가 내년에 연 2.0%까지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계부채 우려가 커지는 동시에 나라 밖 실물경제가 침체의 터널에 재진입하는 조짐도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백신 접종 속도가 더뎌지는 등의 이유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치(6%)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최악의 전력난을 겪는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줄줄이 하향조정되고 있다. 골드만삭스가 8.2%에서 7.8%, 노무라증권은 8.2%에서 7.7%로 각각 내렸다.
침체의 그림자는 한국에서도 포착된다. 8월 전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전달과 비교해 각각 0.2%, 0.6% 하락하는 등 주요 경기지표가 흔들리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날 발표한 ‘10월 경제동향’에서 “우리 경제는 대면서비스업 부진으로 회복세가 둔화한 데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도 확대되면서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