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의 가족은 그가 초등학교를 졸업한 1976년 훗날 그의 정치적 터전이 된 경기 성남으로 이사했다. 당시 성남은 빈민들이 몰려 사는 공장 밀집지역으로, 이 후보 역시 중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6년 동안 여섯 곳의 공장을 옮겨다니며 소년공으로 일했다. 이 후보는 공장에서 프레스기계 사고로 왼팔을 다쳤고, 화학약품을 다루다 후각도 잃었다.
이 후보는 고졸 학력이 있어야 관리직이 될 수 있다는 말에 검정고시 공부를 시작했다. 1978년 고입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1980년에는 대입 검정고시를 통과해 중앙대 법대 82학번으로 입학했다. 대학생활 내내 사법고시에 전념한 그는 1986년 고시에 합격하고 1989년 사법연수원을 18기로 수료했다. 김진태 전 의원과 문무일 전 검찰총장, 송기헌·조응천 의원 등이 연수원 동기다.
사법연수원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강연을 들으며 인권변호사의 길을 가겠다고 결심했다. 연수원을 수료한 뒤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했다. 이 후보는 2017년 펴낸 《이재명의 굽은 팔》에서 “나는 이미 판사도, 검사도 할 수 없었다”며 “인권변호사를 하겠다고 주변 동료들에게 너무 설레발을 쳐 놓았던 터였다”고 설명했다.
성남에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던 이 후보는 성남의료원 설립 운동을 하다가 정치에 입문하기로 결심했다. 2006년 총선과 2008년 성남시장 선거에서 각각 한 차례 낙선한 뒤 2010년 성남시장에 당선됐다.
이 후보는 야당 시장으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성남시 모라토리엄 선언부터 성남의료원 설립, 청년배당 등 주요 정책을 두고 청와대 및 정부 부처와 충돌했다. 그럼에도 재선에 성공하며 전국구 정치인으로 발돋움했다. 현재 이 후보의 최대 정치적 리스크인 대장동 개발 사업을 진행한 것도 성남시장 재임 시절이다.
2017년 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 후보는 21.2%의 득표율로 문재인 대통령(57.0%), 안희정 전 충남지사(21.5%)에 이어 3위에 올랐다. 당시 문 대통령을 향한 지나친 네거티브 공세로 일부 친문 지지자 사이에서는 지금까지 이 후보에 대한 반감이 여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후보의 가족으로는 인권변호사 시절 만난 부인 김혜경 씨와 두 아들이 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