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올해 8월 기준으로 원유 수입물가지수(달러표시)는 전년 동기 대비 57.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액화천연가스(LNG)의 수입물가 상승률은 81.2%다. 우리가 수입하는 주요 에너지원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는 뜻인데, 선진국 경기가 회복되면서 에너지 수요 급증에도 공급이 따라오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둘째, 국제 환경규제가 강화되며 탄소 배출이 많은 석탄 등 기존의 저렴한 에너지원 활용에 대한 제한이 증가한 것 역시 전기 생산원가를 비롯해 전반적인 에너지 비용의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다량 발생해 공급은 늘리기 어려운데 친환경 전환에 필수적이어서 수요가 증가한 알루미늄 같은 원자재 가격도 급등했다. 예를 들어, 런던금속거래소 기준 8월 알루미늄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올랐다.
셋째, 미국의 경기 회복에도 중앙은행(Fed)이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이나 금리 인상을 아직 시행하지 않아 기존에 공급된 국제 유동성이 실물 자산의 전반적인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이외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도 광범위한데, 8월 전년 동기 대비(달러 기준) 철광석은 65%, 구리는 21.2%, 아연은 46.3% 올랐다. 이에 따라 원재료 수입물가는 같은 시점 56.4% 뛰었다.
넷째, 코로나19 이후 약화된 글로벌 분업 체제 역시 전반적인 물가 불안을 가속화하고 있다. 백신 보급과 함께 감염 확산 또는 중증 악화 방지에 어느 정도 성공한 주요 선진국과 달리,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주요 중간재 공급 지역이면서도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존하는 감염 확산 통제로 생산 및 공급에 차질이 많다. 중간재 공급 난항과 이로 인한 가격 상승 역시 물가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달러 기준 중간재 수입물가지수는 지난 4월 전년 동기 대비 22.5%에 진입한 이후 8월 21.4%를 보이며 현재까지 20%대 상승률을 기록 중인데, 중간재 수입물가지수가 20% 이상 상승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는 리먼브러더스 사태 직전인 2008년 7월 21.6% 정도다.
다섯째, 지난 8월 2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연 0.75%로 인상했지만, 최근까지 유동성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7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현금통화인 ‘본원통화’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5.6%(평잔, 계절조정), 또 하나의 통화량 지표인 M2 역시 11.3%(평잔, 계절조정)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유동성 상황을 나타내는 광의의 유동성지표 ‘L’ 역시 9.5%(말잔, 계절조정) 증가했다. 거의 모든 지표로 평가한 유동성 증가율이 가파르고 실질 경제성장률이 높지 않아 이러한 시중 유동성 증가는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밖에 없다.
즉, 거의 모든 여건이 다중적으로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4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한국은행 물가안정 목표인 2%를 넘어선 이후 9월 2.5%까지 계속해서 목표치를 웃돌고,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7월 7.4%, 8월 7.3%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문제는 거기에 그치지 않는다. 물가 상승의 원인 가운데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환경 규제 강화, 글로벌 가치사슬 약화 같은 요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축소 외에 대응 방안이 마땅치 않다. 심지어 달러 유동성 공급을 축소하는 미국의 통화정책 변경으로 국제적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소 감소한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가 우리에게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 압력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다중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은 정책당국의 기준금리 인상 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이에 따른 ‘레버리지 위험’ 확대가 불가피한 경제 환경이 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