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빨강, 노랑…. 알록달록 색의 향연이 펼쳐져 있다. 프랑스 화가 앙리 마티스(1869~1954)가 그린 ‘모자를 쓴 여인’(사진)이다. 풍경화가 아니라 인물화에 이토록 다양한 색이 담겨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옷과 모자뿐 아니라 얼굴도 알록달록하다. 심지어 초록색이 많이 사용됐다. 이 그림은 마티스가 자신의 아내 아멜리에를 그린 것인데, 관람객은 물론 아멜리에조차 그림을 보고 화를 냈다고 한다. 자신의 얼굴이 초록색이니 그럴 법도 하다. 미국 평론가인 레오 스타인도 신랄한 혹평을 내놨다. “지금껏 내가 본 것 중 가장 형편없는 물감 얼룩이다.”
그런데 스타인은 이렇게 말하고도 마티스의 그림을 구매했다. 미술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을 직감한 것이다. 마티스는 이후에도 혹평에 시달렸지만 다양한 실험과 작업으로 큰 화제를 몰고 다녔다. 그리고 마침내 ‘색의 마술사’라는 별명을 얻었고, 파블로 피카소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화가가 됐다.
그런데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났다. 그는 재미 삼아 그린 그림에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뜨겁고 묵직한 열정을 느꼈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화가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가족들은 법조인이던 그가 갑자기 화가가 되겠다고 하니 크게 반대했다. 그러나 마티스의 열망은 이 장벽도 뛰어넘었다. 그는 그림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위해 나고 자란 북프랑스 카토에서 파리로 훌쩍 떠났다.
마티스는 새로운 시선으로 ‘색’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전 화가들은 형태를 묘사하는 법에 대해 다양한 시도와 변형을 해 왔다. 하지만 색을 표현하는 데 있어선 일정한 규칙을 지켰다. 눈에 보이는 색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마티스는 색을 해방시키기 위해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었다. 초록과 빨강, 노랑과 보라 등 강렬한 원색과 보색 대비를 전면에 내세웠다. 또 정교하고 꼼꼼하게 색을 칠하기보다 거칠면서도 자유분방하게 붓질을 했다. 주관적인 인물의 내면과 감정을 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마티스의 그림을 본 한 비평가는 “마치 야수처럼 포악하고 거칠다”고 혹평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런 시도는 마티스뿐 아니라 앙드레 드랭, 모리스 드 블라맹크 등 다른 화가들에게 확산됐다. 그렇게 ‘야수파’가 탄생했다.
마티스는 72세 때 십이지장암에 걸려 큰 수술을 받고 더 이상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됐다. 하지만 그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마티스는 또 다른 색의 마술을 시작했다. 종이에 물감을 칠한 다음 잘라서 풀로 붙인 것이다. ‘이카루스’ ‘푸른 누드 Ⅱ’ 등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그가 85세에 세상을 떠나자, 피카소는 말했다. “나를 괴롭히던 마티스가 사라졌다. 내 그림의 뼈대를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이 마티스다. 그는 나의 영원한 멘토이자 라이벌이었다.”
마티스가 시도한 ‘색의 마술’이 통할 수 있었던 건 수많은 색깔만큼 다양한 도전을 했기 때문이 아닐까. 알록달록 무지개 같은 마티스의 삶과 철학은 그림으로 남아 우리의 마음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다.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
<7과 3의 예술 미리보기>
<7과 3의 예술 구독>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