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갚지 못하는 기업 비중이 사상 처음 40%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 실적과 재무구조가 나빠진 결과다. 지난해 가계가 바깥 활동과 씀씀이를 억제하면서 음식·숙박업체들이 눈덩이 손실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0년 기업경영 분석’을 보면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 100% 미만인 기업은 조사 대상 기업의 40.9%로 집계됐다. 2019년보다 4.3%포인트 상승한 것은 물론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못 갚는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국세청에 법인세를 신고한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 79만9399개를 대상으로 했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2017년 32.3%, 2018년 35.2%, 2019년 36.6%로 해마다 늘고 있다.
기업 재무구조가 나빠졌다는 징후는 곳곳에서 포착된다. 지난해 말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율(총차입금을 총자본으로 나눈 값)은 각각 118.3%, 30.4%를 기록했다. 2019년 말보다 2.6%포인트, 0.9%포인트 올랐다. 부실기업이 불어난 것은 지난해 벌이가 시원찮았던 것과 맞물린다. 지난해 기업 매출은 2019년과 비교해 1.0% 줄었다.
기업 매출이 감소한 것은 통계를 작성한 이후 작년이 처음이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숙박·음식점업체 실적이 급감한 영향이 컸다. 호텔과 식음료업체로 구성된 숙박·음식점업체의 지난해 매출은 2019년보다 16.07% 감소했다. 사업 외형(매출)이 줄어든 것은 물론 손실도 깊었다. 숙박·음식점업체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5.97%를 기록했다. 1000원어치 매출을 올리면 59원70전 손실을 봤다는 뜻이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이들 업체 실적이 크게 훼손됐다.
정유업체를 비롯한 석유정제업과 석유화학업체 매출도 지난해 각각 34.1%, 8.0%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제품 수요가 줄어든 데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유화학 제품 가격이 내려간 결과다.
한은이 올해 초 발표한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 요인과 개선 방안’ 보고서를 보면 좀비기업 노동생산성이 일반 기업의 48%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좀비기업 비중이 2010~2018년에 늘지 않았다면 일반 기업의 노동생산성은 1.01%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선영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투명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조속히 퇴출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한 번 좀비기업으로 전락한 기업들 상당수가 ‘부실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도 이 같은 구조조정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은은 이달 발표한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한계기업의 회생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돈 좀비기업 가운데 정상기업(5~10년 동안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웃돈 기업)으로 전환한 곳은 전체의 15.0~36.3%에 불과했다고 분석했다. 뒤집어 보면 좀비기업의 62.7~85.0%가 부실을 털어내지 못했다는 의미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코로나 직격탄 맞은 기업 재무구조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0년 기업경영 분석’을 보면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 100% 미만인 기업은 조사 대상 기업의 40.9%로 집계됐다. 2019년보다 4.3%포인트 상승한 것은 물론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못 갚는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국세청에 법인세를 신고한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 79만9399개를 대상으로 했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2017년 32.3%, 2018년 35.2%, 2019년 36.6%로 해마다 늘고 있다.
기업 재무구조가 나빠졌다는 징후는 곳곳에서 포착된다. 지난해 말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율(총차입금을 총자본으로 나눈 값)은 각각 118.3%, 30.4%를 기록했다. 2019년 말보다 2.6%포인트, 0.9%포인트 올랐다. 부실기업이 불어난 것은 지난해 벌이가 시원찮았던 것과 맞물린다. 지난해 기업 매출은 2019년과 비교해 1.0% 줄었다.
기업 매출이 감소한 것은 통계를 작성한 이후 작년이 처음이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숙박·음식점업체 실적이 급감한 영향이 컸다. 호텔과 식음료업체로 구성된 숙박·음식점업체의 지난해 매출은 2019년보다 16.07% 감소했다. 사업 외형(매출)이 줄어든 것은 물론 손실도 깊었다. 숙박·음식점업체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5.97%를 기록했다. 1000원어치 매출을 올리면 59원70전 손실을 봤다는 뜻이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이들 업체 실적이 크게 훼손됐다.
정유업체를 비롯한 석유정제업과 석유화학업체 매출도 지난해 각각 34.1%, 8.0%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제품 수요가 줄어든 데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유화학 제품 가격이 내려간 결과다.
“기업 옥석 가려야”
실적 악화로 존폐 기로에 놓인 이른바 ‘좀비기업’ 퇴출이 절실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부실기업을 빠르게 솎아내지 못하면 경제적 자원 배분이 왜곡돼 그만큼 성장 여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한은이 올해 초 발표한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 요인과 개선 방안’ 보고서를 보면 좀비기업 노동생산성이 일반 기업의 48%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좀비기업 비중이 2010~2018년에 늘지 않았다면 일반 기업의 노동생산성은 1.01%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선영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투명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조속히 퇴출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한 번 좀비기업으로 전락한 기업들 상당수가 ‘부실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도 이 같은 구조조정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은은 이달 발표한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한계기업의 회생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돈 좀비기업 가운데 정상기업(5~10년 동안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웃돈 기업)으로 전환한 곳은 전체의 15.0~36.3%에 불과했다고 분석했다. 뒤집어 보면 좀비기업의 62.7~85.0%가 부실을 털어내지 못했다는 의미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