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사용료를 두고 국내 인터넷서비스 제공기업(ISP)과 갈등 중인 넷플릭스가 오픈커넥트를 통한 기존 방식에 주력하겠다고 4일 밝혔다.
딘 가필드 넷플릭스 정책총괄 부사장은 이날 서울의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넷플릭스는 오픈커넥트 기술을 통해 트래픽을 획기적으로 줄였고, 이로 인해 피크타임 때에도 전체 트래픽 비중의 2%만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가필드 부사장은 이날 “넷플릭스는 한화 약 1조원을 투자해 오픈커넥트 체계를 구축했다”며 “이를 통하면 넷플릭스 트래픽의 95~100%를 흡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오픈커넥트 디바이스 1만4000대를 운영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140여개국가에 걸쳐 1000곳 넘는 ISP에 오픈커넥트 기술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고, 이를 통해 작년 한해 동안 ISP가 절약한 비용이 약 1조4100억원에 달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대부분 초당 200메가바이트(mb) 기준으로 인터넷 사용료를 지불한다”며 “반면 오픈커넥트를 쓸 경우 넷플릭스 이용자들이 유발하는 트래픽은 피크타임이라도 초당 3.2mb 수준”이라고 말했다. 트래픽이 가장 몰리는 때라도 넷플릭스가 차지하는 트래픽 비중이 평균 인터넷 이용료의 2%대라는 주장이다.
오픈커넥트가 CP나 ISP로 분류될 수 있냐는 질문에 대해선 “오픈커넥트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이라며 “즉 자체 CDN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이동하는 트래픽을 줄이고, 캐싱과 압축기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했다.
넷플릭스는 아직 오픈커넥트 기술의 효용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내진 않은 상태다. 가필드 부사장은 “수 주 내에 다른 넷플릭스 임원이 오픈커넥트에 대한 설명을 위해 방한할 것”이라며 “오픈커넥트 백서도 발간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애플이나 디즈니는 각 사에 합리적인 방식을 택한 것이고, 넷플릭스도 그렇다”며 “넷플릭스는 넷플릭스 개발 콘텐츠에 맞는 방식으로 전송방식을 택했다”고 했다.
그는 “한 명이 승자가 되는 ‘오징어게임’식 방문이 아니다”라며 “그저 의견을 나누기 위해 한국에 온 것”이라고 했다. “SK브로드밴드와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 한 자리에 모이고자 한다”고 했다.
반면 SK브로드밴드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이번 가필드 부사장 방한과 관련해 SK브로드밴드에 별도 협의 자리를 요청한 바가 없다. SK브로드밴드 관계자는 “지난 3일 기준 넷플릭스가 협의를 위해 만남을 요청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가필드 부사장은 망 사용료 부과가 법으로 강제될 경우에 대해 “각국의 입법과정에 대해서 존중한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각 국가의 법을 존중하고 법에 따라 활동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법이 어떻게 입법될지는 예상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네트워크 관련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을 알고 있고, 이를 전적으로 존중한다”며 “한국 생태계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했다.
그는 “넷플릭스는 구독료와 법적 (소송)결과, ISP에 대한 비용 지급 등을 완전히 별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가 망 사용료를 내게 된다해도 곧바로 넷플릭스 구독료를 올리진 않을 것이란 얘기다. 가필드 부사장은 “다만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이래 한 번도 구독료를 올리지 않은 상태라 요금 인상에 대한 검토를 꾸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