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2호선을 노면전차(트램)로 구축하는 대전시가 이르면 이달 전력공급 방식을 결정한다. 전력공급 방식의 윤곽이 좁혀지면서 관련 기술을 보유한 프랑스 알스톰 등 글로벌 기업들의 수주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8000억원에 이르는 대전 트램 시장을 발판 삼아 이제 막 태동하는 국내 트램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8일 대전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허태정 대전시장은 12박14일 일정으로 유럽·아프리카 4개국, 5개 도시를 방문하고 지난 5일 귀국했다. 허 시장은 이 기간 프랑스 보르도 트램 운영사인 케올리스와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방문해 현지 트램 시설을 살펴봤다. 시는 총사업비 7492억원을 투입해 서대전역~정부청사~유성온천역~진잠~서대전역 36.6㎞ 구간에 트램을 구축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공중에 전기선이 없는 무가선을 트램 전력공급 방식의 원칙으로 삼고 있다.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공중가선은 ‘과학수도’ 대전의 이미지에도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해치고, 주민의 재산권 제약 등으로 인한 민원 발생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유럽 트램 시찰 결과와 용역 결과를 토대로 이르면 이달, 늦어도 내년 1월까지는 전력공급 방식을 결정한다는 게 대전시의 방침이다.
검토 중인 기술은 △배터리 방식 △슈퍼커패시터(슈퍼캡) 방식 △지면급전(APS) 방식 세 가지다. 이 기술을 섞는 혼용 방식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슈퍼캡은 트램에 빠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일종인 슈퍼커패시터를 장착한다. 정류장마다 충전시설을 갖춰 30초씩 정차하는 동안 충전받아 다니는 시스템이다.
많은 에너지를 빠르게 충전받는 장점이 있는 데 비해 정류장마다 대용량 전력송급설비가 필요하고, 30초씩 정차해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슈퍼캡을 도입한다 하더라도 일부 구간에서는 공중가선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다.
시가 검토 중인 안에는 지면급전 방식도 있다. 지면에 설치된 시설로 전력을 공급받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게 장점이다. 반면 땅을 파고 전기시설을 매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구축비용이 더 든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등을 교체할 장비가 필요 없어 운영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방식은 후순위로 미뤘다. 이 방식은 고용량·고효율의 배터리로 트램을 운용해 전기충전이 쉬운 장점이 있지만 충전시간이 길어 차량 편성이 늘어나고 배터리 교체 비용도 연간 수십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기업들도 대전 트램 시장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한국에 고속철도 기술을 전해준 알스톰사는 슈퍼캡과 APS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다. 대전시에 자료를 제공하는 등 영업전을 펼치고 있다.
스페인의 카프사도 슈퍼캡 기술로 대전시 문을 두드리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관련 기술과 부품을 국내 업체를 통해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