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구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국내 도입 일정을 앞당기는 방안을 강구한다.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선구매 계약을 마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도입 시기와 관련해 "내년 2월보다 좀 더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치료제 임상시험과 인허가 문제를 정리하고, 외국 사례를 모니터링해 내년 2월보다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전날 경구용 치료제 선구매 물량 40만4000명분을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치료제의 국내 도입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추가로 모색하고 있다고 거론한 것이다. 류 2차관은 "아직 얼마나 앞당길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해외에서 경구용 치료제를 사용하는 때에 국내에서도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류 2차관은 경구용 치료제 구매와 관련해 해당 제약사에 별도의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그는 "확진자가 늘고, 유행 상황이 악화하는 때를 대비해 경구용 치료제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했거나, 체결 중"이라며 "정부가 원하는 만큼 추가 구매 협의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류 2차관은 "아직 현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물량을, 언제 행사할 수 있을지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며 "상황과 제약사와의 협상 과정이 중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류 2차관은 "경구용 치료제가 있어도 반드시 백신을 맞아야 하며, 치료제 자체로 코로나19를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다"며 "치료제를 백신과 방역수칙 등 여러 요소 중 하나로 보되, 당연히 유행 억제에 큰 도움은 될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한다"고 피력했다.
치료제 적용 대상에 대해선 "미국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와 화이자가 임상을 진행 중"이라며 "어떤 대상군에 투약할지 결정된 바는 없으며, 현재로선 고위험군을 위주로 쓸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