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새로운 사업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1월 10일 서울 광장동에 위치한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21’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팬데믹, 기후변화 등으로 기업의 역할과 경영에 새로운 원칙과 근본적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 ESG 경영의 선두 주자로 꼽히는 최 회장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최 회장은 “탄소중립이라는 총론에는 너도나도 동참하는 모습이지만, 어떻게 시행할지에 대한 각론에서는 동상이몽 상황이 벌어진다”며 “궁극적 목표는 같으면서도 이슈별, 세대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이 문제를 풀지 못하면 결국 어떠한 실행도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최 회장은 “기업들이 2030 탄소감축 목표인 40%에 대해 ‘어렵지만 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마주한 현실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설명했다.
그는 “특히 화학·철강·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사업은 수십 년간 유지해온 비즈니스모델 자체의 근간에 위협이 되고, 이와 연계된 서플라이 체인 전반마저 흔들릴 우려가 있다”면서 “저탄소·탈탄소 전환을 위해서는 설비와 공정 전반에 대한 혁신적 신기술을 도입해야 하고 막대한 투자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를 감당할 제도적 뒷받침과 지원은 매우 부족한 상태다”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지속 가능한 사회가 없으면 지속 가능한 기업이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탄소중립으로 가는 과정이 너무 힘들어 포기한다면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예상된다”며 “더 이상 탄소 문제를 미룰 수 없으며, 오히려 이를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할 수 없는지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테슬라가 전기차로 130년 지속된 내연기관차 패러다임을 바꾸고 그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한 점을 언급했다. 또한 한국 기업이 배터리 분야에 선제적 투자를 하고 현대차를 중심으로 여러 기업이 수소협의체를 만드는 등 자발적으로 친환경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지금 같은 대전환의 기회를 잘 활용하면 지금까지 한 번도 대한민국이 가본 적 없는 ‘에너지 자립국’의 모습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한 “기업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페널티가 아닌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탄소세로 대표되는 ‘페널티 시스템’에는 규제를 회피하려는 기업의 생리가 함께 작용할 수 있음을 설명했다. 그는 “탄소세가 탄소감축을 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인지에 대해 새롭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탄소를 줄이지 못하면 돈을 더 내는 방식에서는 기업들이 탄소를 굳이 더 줄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탄소 문제 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테크놀로지와 방법론을 내놓는 기업에 ‘크레디트’를 부여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텍스 크레디트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캐시 크레디트로 리워드를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지털 코인을 주면 당장 실물경제에 부담되지 않으면서 2030년, 2040년 실제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또 “스타트업이나 벤처에서 획기적 환경친화적 기술이나 방법론을 보유할 때 향후 디지털 코인이 현금화되는 시점에 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실제 투자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사회적 요구는 탄소중립에 그치지 않으며, 기업은 인센티브와 내부화를 통해 그 어떤 기관보다 창의적으로 사회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속 가능한 미래의 핵심 요소, 4C
이어 두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전 덴마크 총리는 ‘지속 가능한 미래와 공정성’에 대해 연설했다. 라스무센 전 총리는 2009~2011년, 2015~2019년 두 차례에 걸쳐 덴마크 총리를 지내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실행을 주도했다. 그는 지속 가능한 미래의 핵심 요소로 기후(Climate), 사회적 결속(Cohesion), 문화(Culture), 지혜(Cleverness)의 4C를 제시했다. 4C와 관련한 정책이 공정성(fairness)을 기초로 추진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라스무센 전 총리는 지속 가능성과 성장의 균형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성장은 번영의 필수 전제 조건이다”라며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적 번영을 모두 이룰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하고 기후, 사회적 결속, 영리함의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2018년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녹색성장 동맹’을 선언한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이 참석해 대담을 이어갔다. 신재생에너지, 노동 유연성, 인센티브 정책 등에 대해 구체적 질문이 나왔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불안정성’에 대해 라스무센 전 총리는 “덴마크와 북유럽에서는 ‘북유럽 전기 시장’을 만들어 하나의 전기 시장을 만들고자 했으며, 덴마크에 완전히 새로운 ‘에너지 섬’을 만들었다”며 “바람이 매일 불지 않고 물이 매일 흐르지 않더라도 통합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실현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현주 기자 char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