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021~2022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0%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이 산업화에 시동을 건 이후 최저 수준이다. 잠재성장률은 물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고 성장률 수준으로 한 나라 경제의 기초체력을 나타낸다.
잠재성장률은 갈수록 낮아질 전망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지금의 경제구조가 바뀌지 않는다는 ‘중립 시나리오’를 전제로 잠재성장률이 2025년 1.57%, 2030년 0.97%로 추락할 것으로 봤다. 저출산·고령화의 여파가 본격 나타나는 가운데 생산성 향상이 더디게 이뤄져 성장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관측이다.
최근 물가 오름세는 코로나19 직후 터진 보복 소비와 원자재 병목 현상에 따라 빚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설비투자가 마무리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물가 오름세가 장기화·추세화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치솟는 물가는 여러 경로를 거쳐 실물경제에 타격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당장 물가가 뛰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줄어든다. 지난달 라면(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 11.0%) 돼지고기·닭고기(12.2%) 상추(23.2%) 휘발유(26.5%) 등 흔히 구매하는 물품의 소비자물가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돈으로 구매할 수 있는 양은 10% 이상 줄어든다. 고환율은 물가 상승폭을 더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가계와 근로자는 줄어드는 지갑 두께만큼 임금 인상을 요구할 공산이 크다. 기업은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고용을 줄이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물가 상승→고용 감소→임금 인상 요구→물가 상승’의 악순환 고리도 생겨날 수 있다.
고금리는 한계기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기업의 줄도산 우려도 나온다. 한은의 ‘2020년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못 갚는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이 조사 대상의 40.9%로 집계됐다. 2019년보다 4.3%포인트 상승한 것은 물론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신3고는 이처럼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내놓는 경고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