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은 지난 2월 수소법이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확정된 법정 기본계획이다. 향후 국내 수소 보급 및 활용 확대를 위한 로드맵 역할을 하게 된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국내 수소 공급량 중 청정수소 비중을 현재 0%에서 2030년 75%, 2050년에 10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청정수소란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만든 ‘그린수소’와 수소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대기 중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인 ‘블루수소’를 의미한다. 현재 국내에서 쓰이는 모든 수소는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그레이 수소’로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정부는 올해 22만t에 불과한 국내 수소 사용량이 2030년 390만t, 2050년 2790만t으로 불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최종적으로 2050년엔 수소가 소비되는 에너지의 33%를 담당해 석유를 제치고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이처럼 급증하는 수소 수요를 그레이 수소가 아닌 청정수소로 모두 대체하기 위해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2025년까지 상용화할 방침이다. 또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수전해 설비 보급 확산을 위한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등 제도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또 국내 자본과 기술을 투입해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2050년까지 40개의 해외 수소 공급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 수소 생산량과 해외에서의 수소 생산량을 합쳐 청정수소 자급률을 2050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이처럼 수소 사용 확산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수소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만 청정수소 개발과 발전·산업 분야에서의 수소 활용 로드맵이 아직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건 문제로 꼽힌다.
정부가 이번 기본계획에서 내세운 CCS 기술은 여전히 개발 단계에 있어 활용 가능 여부가 불투명하다. 또 수소발전 일환으로 내세운 석탄과 암모니아의 혼소발전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암모니아 생산 원료인 수소가 청정수소가 아니라면 비용만 많이 들 뿐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