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원 한국거래소 과장은 7일 ‘2021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콘퍼런스(KBIC 2021)’에 참석해 “내년에도 바이오 기업들의 상장에 대한 (한국거래소의) 지원이 계속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KBIC 2021에는 벤처기업을 위한 강연도 마련됐다. 첫 강연자로 나온 윤 과장은 ‘코스닥·코넥스 상장을 통한 바이오 기업 성장 전략’을 주제로 바이오 벤처기업이 상장 시 주로 선택하는 기술특례상장 방식을 중점 설명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난 9월 기준 91개 바이오 기업이 이 제도로 주식시장에 안착했다. 전체 기술특례상장 사례(137건) 중 66%가 바이오산업에서 나왔다. 올해에도 9월까지 6개 바이오 벤처가 기술특례상장에 성공했다.
윤 과장은 기술특례상장 시 한국거래소가 눈여겨보는 주요 항목으로 특허, 연구진의 경험과 성과, 시장성 등을 꼽았다. 윤 과장은 “보유한 특허가 미비하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연구진의 경험과 성과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다음 강연자로 나선 김헌조 한국투자증권 팀장은 기술특례상장 방식 중 기술평가특례에 특화된 상장 노하우를 공개했다. 기술평가특례는 상장 전 전문평가기관 두 곳에서 기술평가를 받은 뒤 상장하는 절차다. 이들 두 곳 모두에서 최소 BBB등급이 나와야 하고 한 곳은 A등급 이상 평가를 받아야 한다. 김 팀장은 “기술평가특례는 전문평가기관의 기술평가가 사전에 이뤄지는 만큼 상장 심사 과정에서 기술 수준과 사업성 등과 관련해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낮다”며 “기술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면 공모 시 기관투자가 모집에도 유리하다”고 했다.
김 팀장은 기술평가를 받을 때 겪을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도 함께 제시했다. 김 팀장이 꼽은 문제 사항은 △6주에 불과한 평가기간 △한정된 평가위원 인력 △계량화된 평가 항목 등이다. 김 팀장은 “기술평가신청서 외에 별도 요약자료를 제공해 단기간 내 평가위원의 기술이해도를 높이는 게 좋다”며 “상장 전 1~2년 동안 국책과제와 학회 등을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쌓고 수치로 나타나는 평가 항목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창업할 때는 초기 기초연구가 핵심 역량인 경우가 많지만 상장할 땐 사업화 역량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6~7일 이틀간 열린 KBIC 2021는 유튜브로도 생중계됐다. 유튜브 누적 조회수는 약 18만 회를 기록했다.
이주현/한재영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