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밥 아이거 월트디즈니 회장으로부터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넘겨받은 밥 채펙은 ‘불운의 사나이’로 불렸다. CEO 취임 직후 코로나19 사태가 터졌기 때문이다. 미국, 중국 상하이, 일본 도쿄, 프랑스 파리 등 세계 곳곳에 있는 12개 디즈니랜드가 줄줄이 폐쇄됐다. 미국 전역의 영화관이 문을 닫고, 영화·TV 프로그램 제작이 ‘올스톱’되면서 엔터테인먼트 부문이 직격탄을 맞았다. 크루즈 사업에도 브레이크가 걸렸다.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때도 살아남은 디즈니지만 코로나19 위기는 극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그로부터 1년10개월이 지난 현재 ‘채펙호(號)’는 순항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디즈니+)에 집중한 채펙 CEO의 전략이 활로를 뚫고 있다. 채펙 CEO 취임 당시 3000만 명 수준이던 디즈니+의 유료 구독자는 지난달 기준 1억1800만 명으로 급증했다. 넷플릭스가 구독자 1억 명을 확보하는 데 10년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폭발적 증가세다.
우선 디즈니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무게중심을 TV·영화관 등 전통 미디어에서 OTT 플랫폼인 디즈니+로 옮긴다는 구상이다. 그는 OTT 플랫폼을 1930년대 할리우드의 ‘스튜디오 골드러시’ 이후 가장 큰 혁신으로 보고 있다. 스튜디오 시스템은 영화 제작과 배급, 상영을 수직 통합한 체계를 의미한다. 영화 유통의 모든 과정을 장악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당시 우후죽순으로 스튜디오가 생겨났다.
채펙 CEO는 디즈니+에 힘을 싣기 위해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TV 프로그램과 영화 배포를 담당하는 조직을 새로 만든 것이다. 기존에는 새 영화가 나오면 스튜디오 책임자들이 극장에서 개봉할지, 스트리밍을 통해 출시할지 결정했다. 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조직에서 배포 방식을 정한다. 채펙 CEO는 “기존 스튜디오 조직에 일을 맡기면 계속해서 모든 영화가 극장으로 갈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스트리밍 사업은 성장할 수 없다”고 했다.
‘신작 영화는 극장에서 개봉한다’는 업계 통념도 깨뜨렸다. 영화 ‘블랙위도우’ ‘크루엘라’ 등 일부 작품을 극장과 디즈니+에서 동시 개봉했다. 채펙 CEO가 제안한 이른바 ‘데이 앤드 데이트’(동시 개봉) 전략 덕분에 디즈니+ 구독자가 크게 늘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채펙 CEO는 임직원에게 메타버스(3차원 가상공간)를 미래 먹거리로 제시했다. 지난달에는 스토리텔러, 창작자, 기획자, 기술자 등 25명의 리더를 모아 메타버스 사업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채펙 CEO는 “PC와 모바일에 이어 메타버스가 디지털 혁명의 물결을 일으킬 것”이라며 “디즈니 스토리텔링 역사에서 중요한 지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메타버스를 통해 디즈니의 다양한 공간과 사업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방침이다. 채펙 CEO는 “디즈니의 작은 왕국들을 유연하게 연결해 개방할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는 디즈니+뿐만 아니라 디즈니 메타버스를 만드는 데 힘을 쏟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