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영신 서울 구로보건소장은 1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년 넘게 보건의료 분야에서 종사했지만 요즘처럼 현장에서 좌절감이 느껴진 때는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코로나19 발생 후 매일같이 격무의 연속이었지만, 보건소 업무는 지난달부터 더 늘었다. 재택치료자 관련 업무가 추가됐기 때문이다. 재택치료 관리명단을 뽑고, 물품키트를 분배해 나눠주며, 환자를 모니터링하다가 필요시 약 배달도 한다.
확진자 급증으로 검사 건수와 역학조사 건수는 한 달 전보다 두 배로 늘었다. 문 소장은 “위드 코로나 전에는 하루 3000명을 검수했지만 최근엔 하루 6000명을 보고 있다”며 “확진자가 늘면 접촉자로 분류된 사람들에 대한 검사가 많아지고, 역학조사와 방역, 재택치료 관리 등이 동반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문 소장은 “끝없이 증가하는 업무를 해내고 있는데도 코로나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이면서, 직원들이 지쳐가는 것이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고 말했다. 구로보건소에는 선별진료소 기간제 직원을 포함해 14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꾸준히 충원됐지만 부족한 인력은 어쩔 수 없다.
지난 한 해 기저질환이 있거나 장기 피로에 육체적으로 힘들어하는 직원 10명가량이 병가와 휴직을 냈다. 그는 “정신적으로도 힘들어하는 직원이 많아 걱정”이라며 “보건소 건물만 봐도 울렁거린다거나, 언어장애를 호소하는 등 심리적 증상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보건소 직원들의 사상이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월 부산 동구보건소의 한 직원은 업무 스트레스를 호소하다 극단적 선택을 했다. 지난달 말엔 격무에 시달리던 경북 안동시 보건소 팀장이 뇌출혈로 쓰러지기도 했다.
문 소장은 “선별진료소 운영에 대해 용역을 주거나, 독감처럼 모든 병의원에서 코로나 검사와 환자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등 지금까지 해 오던 것과는 다른 접근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가 민간 의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공공의료 붕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터뷰 내내 목이 쉰 채로 답하던 문 소장은 “피곤이 누적돼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을 때가 많지만, 시민과 직원들의 노고에 비하면 이건 아무것도 아니다”고 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