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와 윤 후보의 노동공약은 근로시간에 대한 입장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후보는 앞서 중소벤처기업 정책공약 발표 후 ‘주 4일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노동시간 단축은 언젠가 미래에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반면 윤 후보는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주 52시간을 계산할 때 1·3·6개월 등을 단위로 유연화해야 한다는 중소기업 요청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두 가지 모두 고려 가능한 방안이라고 봤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비대면 근로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업종이 있을 것으로 본다”며 “주 4일제도 필요하면 충분히 도입할 여건이 됐다”고 말했다. 홍기석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실과 맞지 않는 주 52시간제를 강요하기보다는 필요한 경우 근로시간을 줄이는 것과 늘리는 것 양쪽을 모두 허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시간이 아니라 근로 유연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단순히 근로시간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 전체의 구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공약이 필요하다”며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라도 정규직이라도 성과평가를 반영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과 탄력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두 후보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산업 전환보다는 돈풀기 정책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 교수는 “135조원을 들여 200만 개 일자리를 만든다는 이 후보의 공약은 8000만원짜리 일자리를 정부가 공급하겠다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성 교수는 “디지털 전환 공약을 보면 대체적으로 정보기술(IT) 장비를 사는 데 돈을 지원해주는 형태가 많다”며 “이런 재정지원보다는 신산업 진출 규제를 과감하게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