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에서 한국만의 AI 전략공간 확보가 절실하다.”
최근 세계 인공지능(AI) 연구·산업·국제협력 지형을 두루 살펴본 AI 전문가들이 26일 ‘한국의 글로벌 AI 영토를 넓히자’를 주제로 열린 ‘AI미래포럼(AIFF) 웨비나’에서 내놓은 제언이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정부와 거대 기술기업이 함께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AI 특허 출원을 쏟아내고 있다. 그러면서 타국에 대한 견제는 갈수록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틈바구니에서 한국이 AI 강국으로 성장하려면 미·중 양쪽이 모두 찾는 기술·기업을 키워 글로벌 영향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백 부연구위원은 “상황이 매우 까다롭지만 기회도 많다”고 했다. 중국의 AI 민간기업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 진출하기 어려워진 만큼 한국 기업이 발을 넓힐 여지가 커졌다는 설명이다. 그는 “기술·외교적 노력을 집중해 글로벌 시장을 전략적으로 확보할 시기”라고 했다.
허영진 대한변리사회 부회장은 기회 분야로 AI 반도체를 꼽았다. 아직 확실한 선도기업이 나오지 않은 ‘무주공산’이기 때문이다. AI 보급 및 활용을 위해선 AI 전용 반도체가 반드시 필요할 전망이어서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라는 장점도 있다. 허 부회장은 “한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보유한 반도체 대량 생산 노하우를 AI 반도체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며 “필수 분야에서 독자 기술을 앞세워 미·중 각각에 영향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글로벌 AI 메가펀드를 조성하면 한국이 AI 국제 기술협력과 글로벌 사업자 간 네트워크를 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 지원 펀드나 연기금 등을 활용해 메가펀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 사업자가 펀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투자 제한 기준을 완화해주면 펀드 규모 확보가 보다 쉬워진다”고 덧붙였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