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집은 창문이라도 있네요"…원룸살이 청년들 '기막힌 현실'

입력 2022-02-02 06:00   수정 2022-02-02 16:24

<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대학생들의 자취방으로 쓰이던 원룸에 사회초년생을 비롯한 직장인이 몰리고 있습니다. 집값이 나날이 오르는 서울에서 그나마 저렴한 보금자리이기 때문입니다. 지방에서 상경해 안전한 집을 찾는 사회초년생부터 코로나19 사태에 일터를 잃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자영업자, 실직으로 원룸 생활을 청산하며 낙향을 결심한 이들까지 서울 원룸에서 희노애락을 겪은 2030세대 4명을 방문해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편집자주]


"처음에는 넓진 않더라도 깔끔한 오피스텔을 구해 아기자기하게 꾸미는 꿈을 꿨습니다. 그런데 막상 알아보기 시작하니 서울 집값이 정말 상상 이상으로 비싸더라구요. 이제는 단칸방만 피하자는 생각으로 빌라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의 한 회사에 취직해 부산에서 상경한 손모씨(27)는 "형편에 맞춰 살아야 하지만 삶의 질도 중요하지 않느냐. 헌데 사람답게 사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대학원을 졸업하며 모은 돈에 대출을 껴 서울 도심 오피스텔 전세를 구한다는 그의 계획은 무너졌다. 발품을 판 결과 1.5룸(분리형 원룸)은 3억원, 2룸은 4억원 수준의 보증금이 필요했던 탓이다.

결국 손씨는 계획했던 일정 내에 집을 구하지 못했다. 1월부터 출근을 시작한 손씨는 급한대로 지난해 말 여성전용 고시원을 계약했다. 퇴근 이후와 휴일 등 지금도 틈나는 대로 집을 보러 다니는 그는 "오피스텔에서 눈을 낮춰 풀옵션 신축 빌라를 둘러봤지만, 가격 차이가 1억원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여전히 비쌌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래된 집은 저렴하게 구할 수 있지만 골목 깊숙한 곳에 위치한 탓에 안전 문제가 염려되고 녹물이나 곰팡이, 벌레 등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있다. 계속 고시원에 있을 수도 없기에 이런 문제들을 감수할지 고민하는 중"이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툭하면 청년 정책을 펼친다고 말하는데 그 혜택은 대체 누가 받는지 모르겠다"고 호소했다.
청년 정책 편다더니…미스매칭에 행복주택·청년주택 '부족'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은 '행복주택', '청년주택' 등의 이름으로 청년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다. 다만 서울 도심에 이뤄지는 이들 주택을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SH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차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 결과에 따르면 총 740가구 공급에 3만5000여명이 몰리며 평균 47.2대 1의 경쟁이 빚어졌다.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앞 마포구 '효성해링턴타워' 17㎡(청년계층)는 단 2가구 공급에 1170명이 몰려 585대 1이라는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LH가 진행한 '수서역세권 A2블록' 행복주택 1080가구 청약도 1만9114명이 몰리면서 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가장 경쟁률이 높았던 것은 청년 대상으로 공급한 36㎡B 평형으로, 20가구 모집에 4156명이 참여해 경쟁률이 207대 1까지 치솟았다.



일각에서 소형 공공 임대주택의 공실률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실상 청년역세권이나 기숙사형의 계약률은 100%를 넘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20회계연도 국토위 결산 분석자료에 따르면 공실은 주로 신혼부부 몫으로 배정된 소형 임대주택에서 나오는 것으로 분석된다.

감사원도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신혼부부에게 공급된 공공임대주택을 분석한 결과 전용 36㎡ 이하에 물량이 집중됐고 생활 지역도 고려하지 않았다며 국토교통부에 개선을 권고했다. 국토부의 잘못된 판단에 소형 평형의 수요자인 청년들의 주거안정 기회만 사라진 셈이다.

사라진 기회만큼 서울에 사는 청년들은 더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 5년간의 서울살이를 최근 마치게 된 오모씨(34)는 손씨의 고민에 대해 공감하면서 "사회초년생이 서울에 살기 위해선 더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버티려 들어간 원룸…포기하는 법 알려줬다
여행업계에 종사하던 오씨는 새 출발하는 손씨와는 다른 형편이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결국 회사를 떠나야 했다. 퇴사와 함께 약 2년 동안 이어진 원룸 생활도 오씨의 낙향으로 마무리될 처지다. 오씨는 "코로나가 터져 일거리가 끊기면서 최저임금만 받았고, 서울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원룸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지하철 4호선 혜화역에서 10여분 거리에 3평(약 10㎡) 남짓한 그의 원룸이 있다. 손때가 가득한 책상과 옷장, 라면 하나 겨우 끓일 자그마한 주방이 공간을 차지하니 침대를 둘 장소마저 없었다. 화장실이 있지만, 그나마도 가벽 하나를 세우고 옆방과 나눠 사용하고 있었다.

그는 "서울에 남아 버티고 싶었다. 그래서 저렴한 가격이 가장 우선순위였다"며 "집 구하는데 채광을 우선히 했는데, 볕이 잘 들지 않으면 더 우울해질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의 원룸은 보증금 200만원에 관리비를 포함한 월세가 35만원으로, 일대에서 가장 저렴한 축에 속한다고 한다. 건물 5층에 남향으로 창이 난 덕에 볕도 잘 들었다. 하지만 장점은 그 뿐이었다. 나머지는 불편함을 오롯히 감수해야 했다.

원룸에서 겪은 불편을 묻자 그의 설명이 이어졌다. "이불을 펴고 누우면 방이 좁아서 발이 반대편 벽에 닿았습니다. 얼굴 오른쪽에는 냉장고가 있어 소음이 들리고 왼쪽 싱크대에서는 하수구 냄새가 올라왔죠. 옆방 소음은 물론이고 건물이 낡아서 그런지 책상에 앉아있는데 발등에 곱등이가 기어다닌 적도 있습니다. 이 방에서 지내는 동안 산책도 자주 다니고 공부도 하려고 했는데, 점차 우울해져 결국 게임만 하게 되더군요."

성격이 낙천적이었던 오씨지만 이러한 생활을 1년 넘게 하면서 우울한 날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원룸을 "서울에 살기 위해 포기하는 법을 배우는 공간"이라고 요약했다.


원룸은 서울에 사는 대신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지만, 한편으로는 재기를 꿈꾸는 청년을 위한 공간이 되기도 했다. 자영업에 종사하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해 폐업한 김모씨(35)는 작년말 관악구 대학동에 원룸을 구했다. 대학동은 과거 고시촌으로 유명했던 곳이다.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 30만원이라는 4평(약 13㎡) 공간은 책상과 옷장, 침대와 화장실을 갖추고 있다. 다만 싱크대가 없어 컵이나 그릇은 낡은 세면대에서 닦아야 한다. 옆방에서 볼펜 달칵대는 소리는 물론, 길가 행인들이 간혹 나누는 대화마저 들려온다. 그나마 볕이 들어오는 창문이 있다는 게 위안거리다.

김씨는 "예전 신문기사에 보면 정몽준씨가 고시원에 들어가 멍한 표정을 짓는 사진이 유명했던 적이 있다. 당시에는 정씨에 대한 비판이 높았는데, 대학동에서 방을 구하러 다니는 동안 나도 그런 표정이 나왔다. 여기서 사람이 어떻게 살지 싶더라"고 회상했다. 2014년 당시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는 서울 시내 한 고시원과 경찰고시학원을 방문해 수험생들을 독려한 바 있다.

그래도 그는 대학동 원룸을 골랐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기로 했는데, 자칫 나태해질까 공부하는 이들 사이에 살며 학원을 다니기 위함이다. 비용도 중요한 문제였다. 그는 "이미 머리가 굳어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순 없으니 생활의 편의를 다소 포기하더라고 서울에서 오래 버틸 수 있는, 저렴한 곳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대학동 원룸가의 특징으로 조용함을 꼽았다. 그렇지만 그의 말 속에는 씁쓸함이 느껴졌다. 그는 "이 동네에서는 사람들이 길을 걸으며 말하지 않는다. 주변 방에 다 들리기 때문"이라며 "워낙 조용하다보니 무소음 시계의 태엽 돌아가는 소리까지도 들린다. 사람이 점점 예민하고 날카로워진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환경 열악한 원룸, 가격마저 올라…1인 가구 "어디로 가오리까"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내 1인 가구 수는 139만에 달해 전체 가구의 34.9%에 육박했다. 이들의 주된 거주지는 원룸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실장은 "가구 분화현상과 직장을 찾아 도심으로 이동하는 수도권 1인가구가 늘어나는 추세"라며 "이들이 원룸의 주된 수요자인데, 1인당 주거면적이 30㎡도 되지 않는데다 고시원이나 옥탑·지층 등 열악한 공간이 많다"고 지적했다.

열악한 환경에도 가격은 오르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서울의 전용면적 10평(33㎡) 이하 원룸의 평균 가격은 2019년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3만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보증금 2703만원에 월세 40만원(관리비 제외)으로 높아졌다.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서울에서 원룸 자취를 하면 수입의 22% 이상을 주거비에 지출하는 셈이다. 생활비와 관리비를 더하면 주거비 부담은 더욱 늘어난다.
"원룸은 잠시 거쳐가는 공간…항구적인 주거 할 수 없어"
주택산업연구원 이재형 책임연구원은 "원룸이 잠시 거쳐가는 공간으로 쓰일 순 있지만, 청년들의 항구적인 주거 공간이 될 순 없다"며 "다가구주택을 불법으로 개조한 원룸의 경우 청년들을 소음이나 화재 우려, 방범 등의 문제에 노출시킨다"며 지적했다. 그는 "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 택지 개발 활성화를 통해 원룸이라도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주거용 오피스텔 등 양질의 원룸을 저렴하게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좁고 불편한 원룸 생활을 버티다 못한 사회초년생 박모씨(29)는 올해 거금을 들여 직장 인근 강남구 역삼동에 15평(전용 33㎡) 투룸 빌라를 구했다. 전세대출 이자와 관리비로만 매달 100만원이 나가게 됐지만, 그는 드디어 사람답게 살게 됐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집이 바뀌면서 생활도 크게 달라진 덕에 '가심비(고비용&고효율 소비)'를 체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초 취직에 성공한 그는 지난달까지 광진구 화양동의 4평 원룸에 지냈다. 박씨는 "취직하고도 대학때 살던 방에서 계속 살았다. 돈을 모아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고 회상했다. 경제적 이유로 내린 결정이 오래가진 못했다. 그는 "학생일 때는 시간 여유가 있으니 취미생활을 즐겼고 하다못해 산책도 자주 다녔지만, 회사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퇴근 후에는 피로감이 쏟아져 방에만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원룸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야외활동으로 풀지 못하면서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그는 "퇴근한 뒤 자취방에서 샤워를 하다가 갑자기 눈물이 났다. 열심히 일했는데 은색 스테인레스가 하얗게 변하고 석고는 바스라질 정도로 낡은 세면대에서 샤워하는 내 모습이 너무 초라하고 서글펐다"고 토로했다. 이어 "툭하면 습기차 답답한 공기에 만두 2팩만 넣어도 냉동실에 빈 자리가 없는 조그만 냉장고, 밤이면 기어다니는 벌레 모든 것에 점점 화가 났다"며 "몸이 피곤해서인지 여름철에 기침을 달고 살았는데, 나중에 친구 얘기를 듣고 에어컨을 뜯어보니 회전팬에 곰팡이가 가득했다. 이렇게 살 수 없다는 결심을 내린 순간이었다"고 털어놨다.

집을 옮기고 월급의 절반 가까이를 주거비로 쓰게 됐지만, 박씨는 "만족한다"고 말했다. 그는 "넓은 공간에서 오는 쾌적함이 이런 것이구나 느끼고 있다. 옷과 짐만 둘 방이 생기면서 수납 스트레스가 크게 줄었고 주말에는 거실 발코니에서 햇살을 즐기기도 한다"며 "볕을 쬐며 즐기려 캡슐머신도 주문했다. 조만간 친구도 초대할 생각이다. 자취방에서는 하기 어려웠던 일을 하나씩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거비가 크게 늘었는데 미래에 대한 걱정은 없을까. 박씨의 대답에서도 '포기'가 등장했다. 그는 "연애나 결혼이나 결국 현실적인 문제가 있지 않느냐"며 "결국 아파트가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 돈을 모으려면 다시 원룸에 들어가야 한다. 미래를 위해 지금을 포기하고 싶진 않다. 차라리 그런 미래를 포기하고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