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열병합발전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후 경영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탄소배출을 줄이고 산업안전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열병합발전은 1995년 한국에너지공단 공업단지사업본부로 출발한 기업이다. 2005년 민영화돼 조선내화에 매각됐고 2015년엔 다시 맥쿼리에 매각됐다. 대전 산업단지 공장에 공정용 증기를 공급하고 약 5만여 세대 아파트단지에 지역난방 및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 대전 쓰레기매립장 및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와 소각장에서 나오는 폐열을 재활용해 지역 자원을 순환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대전열병합발전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근로자 작업 이동거리를 개선하기위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했다. 김대수 대전열병합발전 대표는 "노후화가 진행된 설비로는 사전에 위험 예측이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 설비 스마트화는 필수였다"고 도입 배경을 밝혔다.
근로자 역시 위험한 현장에 가지 않아도 사무실에서 생산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연료를 얼마만큼 썼는지, 판매량은 어느 정도 되는지도 한눈에 파악이 가능해졌다. 과거 수기로 관리되던 부분이 디지털화 되면서 보고서를 작성할 필요도 없어졌고 설비 이상 징후도 즉각적으로 판단이 가능해졌다. 근로자 역시 여유 시간을 확보하게 되면서 더 안전한 일터가 됐다는 평가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이 회사는 스마트공장 도입 이후 현재까지 산업재해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온실가스는 4.9%감소했고 작업시간은 무려 76%감소했다. 김 대표는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한 가상발전소(VPP)도입을 바탕으로 최종 고도화를 꿈꾸고 있다"며 "대전의 에너지 허브 역할을 하면서 탄소중립과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