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내시경은 1㎝ 미만으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출혈과 통증이 적은 데다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도 적다. 하지만 관절내시경 수술이 만능은 아니다. 수술 전과 별반 차이가 없거나 심지어 수술 후 더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그중 하나는 반월상 연골이 시작하는 부위, 즉 기시부에서 연골이 찢어진 경우다. 이때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반월상 연골을 많이 제거해도 관절염이 악화할 수 있다. 관절내시경 수술 자체가 관절 내부에 스트레스나 충격을 줘 관절염 진행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장기간 관찰한 결과, 수술을 하지 않은 환자와 별반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절내시경 수술을 과잉 진료라고 말하는 의사들도 있다. 찢어진 연골도 관절내시경 수술을 하나 안 하나 결과가 똑같으니 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물론 결과는 같아도 감기약을 먹으면 증상이 완화돼 견디기가 수월하듯이 관절내시경 수술로 통증을 줄여주고 일상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면 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 또한 만만치 않다.
하지만 분명한 건 지금은 필자뿐만 아니라 많은 의사가 반월상 연골이 찢어졌다고 무조건 관절내시경 수술을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꼭 관절내시경 수술을 해야 할 때가 있다. 우선 반월상 연골이 심하게 손상돼 무릎 사이에 끼어서 마치 자물쇠로 무릎을 잠가놓은 것처럼 잘 펴지도 굽히지도 못하고 뭔가 딱딱 걸릴 때다. 이런 경우에는 걸음걸이가 이상하고 잘 걷지도 못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경우는 반월상 연골이 심하게 손상돼서 걸어가다가 다리 힘이 빠져 넘어질 것 같을 때다. 보행이 어려운 것도 문제지만 걸어가다가 다리 힘이 빠져 넘어지기라도 하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므로 수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약을 먹어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충격에 의해 파손돼 떨어져 나간 연골 조각이나 뼛조각과 같은 이물질, 즉 유리체가 관절 안을 돌아다니면 약을 먹어도 잠시뿐 금세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염증으로 계속 물이 차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피하다. 다리에 힘이 빠지는 반월상 연골 손상, 이물질이 관절 안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관절내시경 수술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