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여파로 코로나19가 얼마나 더 세(勢)를 키울지에 대한 논란이 벌어진 건 신규 확진자가 사상 처음 ‘1만 명 벽’을 깬 지난달 25일 무렵이었다. 가파른 확산세에 놀란 민간 전문가들이 “2월 말~3월 초에 하루 확진자 수가 10만~20만 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아주 비관적인 사람들이 그렇게 보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당시 김 총리가 “정부와 함께 일하는 분들의 의견”이라며 내놓은 정점 규모는 3만 명 정도였다.
10여 일이 지난 지금 누구의 예측이 맞았는지는 모두가 아는 그대로다.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인데도 신규 확진자 수는 4일(3만6362명)에 이어 5일(3만8691명)에도 3만 명을 넘었다. 이런 추세라면 당장 이번주에 5만 명 벽이 무너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예상을 뛰어넘는 확산 속도에 재택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오미크론 대응체제’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두 번째는 사상 처음 20%를 넘은 ‘검사 양성률’이다. 양성률이란 검사받는 사람 중 양성으로 나온 비율을 말한다. 5일 양성률은 20.8%로, 1월 31일 7.8%에서 1주일 만에 세 배 가까이 치솟았다. 검사자 다섯 명 중 한 명꼴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건 그만큼 ‘숨은 확진자’가 많다는 걸 의미한다.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피크 규모(10만~20만 명)가 더 커지고, 피크 시점(2월 말~3월 초)이 당겨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확산세가 가팔라지면서 ‘오미크론 대응체계’의 핵심인 재택치료는 흔들리고 있다. 정부는 재택치료 환자의 건강 모니터링 횟수를 조정(일반 환자 2회→1회·고위험 환자 3회→2회)해 대응 가능 환자 수를 하루 최대 16만3000명으로 늘렸지만 정작 현장에선 수많은 확진자가 ‘방치’되고 있다. 현재 재택 치료자 수는 12만8000명가량이다. 이 정도 규모에도 시스템이 삐걱대는데, 하루 10만 명씩 확진자가 나오면 아예 ‘먹통’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재택치료 기간이 7일(백신 접종완료자 기준)인 만큼 동시에 70만 명가량을 치료해야 할 상황이 올 수 있어서다.
현재 상황은 괜찮은 편이다. 5일 기준 위중증 환자는 272명으로, 7일째 2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델타 전성시대’였던 올 1월 1일에 비해 확진자 수는 10배(3830명→3만8691명) 늘었지만 위중증 환자 수는 오히려 4분의 1(1024명→272명)이 됐다. 이 덕분에 사실상 ‘만석’이었던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약 16%로 뚝 떨어졌다.
하지만 섣부른 낙관론은 위험하다는 시각도 있다. 오미크론의 치명률(0.16%)이 델타(0.80%)의 5분의 1 수준인 만큼 산술적으로 델타가 유행하던 때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다섯 배 이상 늘면 위중증 환자 수도 델타 시절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의료계 관계자는 “매일 신규 확진자가 5만~10만 명씩 나오면 고령층을 중심으로 위중증 환자가 폭증할 수 있다”며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오상헌/이우상 기자 ohyea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