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기지국에는 신호를 크게 증폭하는 기능의 반도체 소자 트랜지스터가 탑재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소재는 2007년까진 실리콘이 대세였고 제조업체도 일본 등 외국계 기업이 전부였다. 그러나 2019년 상용화되기 시작한 5세대(5G) 기지국에선 질화갈륨으로 만든 트랜지스터 점유율이 전체의 50%를 넘어서는 등 주류로 자리매김했다.
경기 안양에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사 RFHIC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질화갈륨 트랜지스터를 양산하는 기업이다. 1999년 이 회사를 창업한 조삼열 회장은 “2008년 국내 기지국에 처음 적용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 만에 질화갈륨 트랜지스터가 한국은 물론 글로벌 기지국의 대세가 됐다”며 “올해부터 기존 기지국, 방산에 이어 수소·의료 등 신사업 개척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창업 초기엔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수입해 전력증폭기를 제조했다. 그러나 거듭된 R&D 끝에 5년 만에 질화갈륨 트랜지스터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삼성전자, SK텔레콤과 협업을 통해 2008년 기지국용 질화갈륨 트랜지스터 양산에 성공했다. 조 회장은 “한국이 기지국용 질화갈륨 트랜지스터의 효시고 그 중심에 RFHIC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지국용으로는 트랜지스터만 만들어 삼성전자 등에 공급하지만 방산용으로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전력증폭기 일체를 제조한다. 전력증폭기는 내로라하는 전 세계 50여 개 방산기업과 거래한다. 군함과 항공기용 레이더가 주요 전방 시장이다.
신사업도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질화갈륨 트랜지스터를 활용한 ‘초고주파 생성기’(마이크로웨이브 제너레이터)를 식품 대기업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가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초고주파 생성기는 수명이 10만 시간으로 길고 기존 가열 방식 대비 생산성이 네 배로 높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조 회장은 “균일하게 또는 대상물을 선별해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며 “식품은 물론 수소와 의료 등 새로운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자신했다.
안양=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관련뉴스